[기아 파문] 외국 사례 : '미국 크라이슬러'..리스트럭처링

표류 12일째. 기아자동차사태는 아직 수습의 가닥이 잡히지 않고 있다. 각계의 ''기아살리기 캠페인''이 날로 고조되고 있지만 정부는 여전히 팔짱을끼고 있다. 마땅한 해법이 없다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정부가 할수 있는 역할은 그토록 제한적이고 소극적이어야 할까. 한때 경영위기를 맞았던 세계적 자동차기업인 미국 크라이슬러의 회생사례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기아사태해결을 위한 해법을 찾아본다. ======================================================================== "크라이슬러를 살리자" 70년대말 미국에서는 요즘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아 살리기"와 너무나도 흡사한 이런 구호가 등장한 적이 있다. 70년대초까지만 해도 흑자기조를 유지하던 크라이슬러는 74년부터 적자의 늪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무리한 설비투자에다 오일쇼크,일본차의 공세 등 악재가 겹쳤기 때문이다. 79년에 이르러서는 적자규모가 무려 11억달러에 달해 파산직전의 상황까지몰렸다. 사태가 이쯤되자 회사자신은 물론 금융기관 행정부 의회, 심지어 경쟁업체들까지 크라이슬러 소생작전에 발벗고 나섰다. 우선 크라이슬러 자신은 오늘날 신화적인 존재가 된 리 아이아코카를 최고경영자로 영입, 대대적인 리스트럭처링을 단행했다. 수익성이 낮은 공장을 대거 폐쇄함에 따라 35명이나 됐던 부사장은 단 2명으로 줄었고 종업원도 10만명에서 7만명으로 감축됐다. 아이아코카의 연봉을 1달러로 묶는 조건으로 종업원 연봉도 일률적으로 10% 삭감했다. 크라이슬러의 이같은 뼈를 깎는 듯한 자구노력에 4백여개 은행으로 구성된채권은행단도 파격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당시 크라이슬러의 총부채 20억달러중 10억달러를 우선주로 전환시키고 7억달러상당의 원리금을 탕감해준 것. 여기에다 경쟁업체인 GM도 크라이슬러의 딜러들이 지니고 있는 채권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2억3천만달러의 단기융자를 제공, 크라이슬러 살리기에 한몫 거들었다. 물론 GM의 이같은 정책은 크라이슬러가 예뻐서라기보다는 크라이슬러가 도산할 경우 자신의 독점적 지위가 더 심화돼 독과점규제가 강화될 것이라는계산 때문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크라이슬러의 회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 쪽은 행정부였다. 미행정부는 79년12월 15억달러에 달하는 크라이슬러 채무보증 특별법안을 의회에 제출, 통과시키는 한편 채권단에도 크라이슬러 구제에 참여하도록 주선했다. 또 크라이슬러측에 자구노력의 방향을 제시하고 노조에 대해서도 임금인하또는 동결을 받아들이도록 촉구, 이들의 협조를 얻어냈다. 이와함께 해외금융기관 지방정부 부품업계 등 다른 이해관계자들에게도 크라이슬러 살리기에 동참할 것을 요청함으로써 이들의 신규대출 지분참여 등을 이끌어냈다. 물론 행정부의 이같은 정책에 논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노동계를 대표하는 AFL.CIO(미국노동총동맹 산별회의)와 의회지도자들은 정부의 개입을 요구한 반면 산업계와 언론계는 자유주의 경제원칙을 들어 정부개입을 반대했다. 찬성론자들은 크라이슬러가 파산할 경우 대량실업이 불가피하다는 점,경영난의 직접적인 원인이 오일쇼크라는 불가항력적 요인이라는 점, 자동차산업에 대한 정부의 과도한 규제도 경영난의 일부요인이라는 점 등을 그 논거로 삼았다. 이에비해 반대론자들은 실직자는 GM과 포드가 흡수할 수 있고 경영난의 최종적인 책임은 결국 크라이슬러 경영진에 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찬반양론 속에서도 미행정부는 크라이슬러 살리기에 적극 개입,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 결과 크라이슬러는 82년부터 1억7천만달러의 흑자로 전환, 83년에는 융자금 12억달러를 당초 계획보다 7년이나 앞당겨 조기상환했다. 또 작년에는 무려 35억달러의 영업이익을 내는 등 미국의 "크라이슬러 회생작전"은 대단히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물론 이같은 "크라이슬러식 재기모델"이 오늘날에도 그대로 통용될 수는 없다. WTO(세계무역기구)협정 등 다자간 규범이 한층 강화돼 정부나 금융기관이 제공할 수 있는 지원의 범위가 훨씬 더 축소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크라이슬러의 사례에서 중요한 것은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경영위기를 해당기업뿐 아니라 정부 금융기관 동종업체 등 이해관계자들이 합심하여 극복해 냈다는 사실이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