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블루칩멤버스' 탐방] '인천제철'..반기 경상익 192억
입력
수정
인천제철(사장 노관호)은 유보율이 무려 4백50%에 달하는 우량한 회사다. 올해 상반기 경상이익이 1백92억5천2백만원에 달해 지난해 상반기보다 무려56.7%나 늘어나 연말결산때는 이익잉여금이 더 많이 쌓일 회사다. 회사측은 앞으로 3년동안 연평균 3백53억원의 원가절감을 통해 수익성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히고 있다. 품질과 원가 그리고 서비스 등 세가지를 세계 최고의 철강회사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3TOP 운동"을 벌여 이익을 더 늘리겠다는 것이다. 특히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 인력의 합리적 재배치로 올해는 2백6억원,내년에는 3백41억원, 99년에는 5백13억원 등 총 1천60억원의 원가를 절감해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 회사는 SOC(사회간접자본) 투자와 관련된 수혜주로 꼽힌다. 국내 최대의 전기로 제강회사로 철근과 H형강 스테인리스제품을 주로 생산해건설 자동차 조선 등 국가기간산업 전반에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H형강의 경우 국내시장 점유율이 50%를 넘고 있다. 다른 제품도 20%이상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SOC투자가 활발해지면 큰 폭의 외형성장을 이루는 최대수혜주로 떠오를 전망이다. 생산능력도 크게 늘어나 외형성장 전망이 밝다는 점도 이 회사의 장점이다. 현재 연간 철강 생산능력은 3백70만t이지만 오는 10월말 신중형공장이 완공되면 4백50만t으로 늘어난다. 또 경기도 포승지역에 연간 45만t을 생산할수 있는 스테인리스 핫코일공장과연산 15만t규모의 냉연공장의 건립을 추진하는 등 고부가가치사업도 노리고 있다. 이밖에 제강분진(철강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철가루)의 화학적 불용화처리기술을 자체 개발해 지난 92년 특허를 취득했고 지난해부터 이를 실용화해 수십억원의 원가절감효과를 보고 있는 중이다. 이는 특정폐기물로 분류돼 처리비용이 비싼 제강분진을 죽처럼 만들어처리비용이 싼 일반폐기물로 만드는 기술. 이 회사의 한 관계자는 "다른 철강업체에 비해 PER(주가수익비율)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며 "수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20%가 넘어 환차익이 날 가능성도 있으며 3TOP운동에 따른 원가절감까지 감안하면 연말에 매출 1조6천8백억원은 물론 큰 폭의 경상이익 증가율을 실현할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