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이동식 소가구로 공간분할 .. '원룸 넓게 쓰기'
입력
수정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증가하고 독립생활을 선호하는 젊은층이 증가하면서 원룸의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앞으로는 작업용 스튜디오나 학생, 직장인을 위한 자취형 공간외에 노인층을 위한 실버주택 등 새로운 용도로도 선호될 것으로 보인다. 원룸 구성에 있어 중요한 것은 분산돼야 할 기능공간을 어떻게 잘 조화시키느냐 하는 점. 실내건축 설계사무소 "엑시스디자인"(325-8527)의 김부곤 소장으로부터 좁은 공간을 낭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원룸 주거공간 계획에 대해 알아본다. 수면.거실공간 =수면공간은 다기능 개방공간으로 시간별, 사용목적에 따라 다르게 이용된다. 따라서 소파베드나 접는 침대 등 다용도가구를 이용하거나 전통 주거양식인온돌을 사용, 기능변화가 쉽도록 할 수 있다. 거실은 모든 주거생활의 중심으로 접객기능뿐 아니라 작업, 식사, 수면공간의 역할까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식사.부엌공간 =조리방법이 자동화되고 설비시스템이 발달되면서 부엌이 간소화되는 경향이 있다. 디자인이 개선돼 개방공간에 노출돼도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거실과 부엌공간은 일체형으로 하고 접이식 식탁 등을 설치, 공간의효율성을 꾀하는 것이 좋다. 기타 =욕실은 원룸에서 유일하게 독립된 공간. 가장 규격화된 형태로 주방과 접근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공간은 붙박이장과 수직적 수납시스템을 활용하고 자투리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간혹 공간분할을 위해 간이벽체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벽체를 수납고로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출입구는 통로공간을 최소화하고 문을 열고 닫을 때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시각적으로 공간을 넓어 보이게 하려면 단순하고 투명한 소재를 활용하고 고명도, 저채도의 페인트나 벽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공간분할 요령 =수납을 겸하면서 공간을 구분해줄 수 있는 이동식 소가구를 사용한다. 이때 가구의 높이는 눈높이보다 다소 낮은 것을 선택해야 답답하지 않다. 롤스크린이나 블라인드 커튼 등도 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 공간분할의 확실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