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제품개발 현지화로 승부" .. 박정인 현대정공 사장
입력
수정
제12회 하노버 국제 공작기계 전시회(EMO)에 참석하고 있는 박정인 현대정공 사장은 "프랑크푸르트에 공작기계 신제품 개발을 전담할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는 등 현지화전략으로 경쟁의 파고를 넘겠다"고 유럽시장 공략의 대비책을 말했다. -올해 EMO 출품에서 가장 중점을 둔 것은. "유럽시장은 고정밀도와 복합기능을 가진 제품을 선호하는게 특징이다. 따라서 선반과 머시닝센터, 선반과 밀링, 다양한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머시닝센터 등 복합기능제품을 위주로 출품했다. 또 독자개발한 PC내장형 CNC(컴퓨터수치제어) 컨트롤러 하이트롤킹을 선보이는 등 선진기술력을 과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유럽시장 진출전략은. "역시 현지화전략이다. 지난 95년 프랑크푸르트에 설립한 테크니컬센터를 중심으로 애프터서비스를강화하는 한편 제품개발도 현지화해 유럽고객의 취향에 맞는 공작기계를 매년 3-4기종씩 내놓을 방침이다" -최대 경쟁상대인 일본업체에의 대응전략은. "일본은 현지생산체제를 갖추고 덤핑공세를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일본제품에 고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젠 국산제품도 기술력이나 품질면에서 손색이 없다고 본다. 수입품을 선호하는 풍토가 하루빨리 고쳐져야한다고 생각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