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약없는 본부간부'..재경원 서기관 2명 법률회사 고문변신
입력
수정
비고시출신의 유능한 과장급 공무원이 잇달아 재정경제원을 떠나 법률사무소 고문으로 변신해 관심. 정원초과 서기관이 무려 27명이나 되는 재경원에서 본부 과장이 되기위해 기약도 없이 몇년을 더 기다리기보다는 자신의 전문성에 걸맞는 대우를 받겠다는 것. 최근 "증권거래법해설"을 저술하는 등 재경원내 대표적인 증권전문가인 전홍렬 서기관(49,국무총리실 파견)은 29일 사직서를 제출하고 금명간 국내 최대의 로펌인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으로 출근할 예정. 지난 78년2월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뒤 같은해 4월 만30세의 나이에 행정주사보(7급)로 공직생활을 시작한 전서기관은 구 재무부 증권보험국에서 약 10년간 근무하면서 증권관련 법률 개정작업에 깊히 관여한 증권통. 이에앞서 임동빈 서기관 등이 지난주 자리를 차고 나갔다. 임서기관은 지난 68년 사서서기보(9급)로 공직에 투신, 국세청에서 10년간 근무한뒤 구 재무부로 옮겨 이재국 증권국 세제국 등에서 세제개혁 금융실명제 등 주요 정책에 실무자로서 활약했던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으로 변신. 임서기관은 지난 2월 금융개혁위원회로 파견나간뒤 김&장에서 금융세제 전문가로서 자신을 도와달라는 제의를 받고 연봉 1억원대의 자리로 전직했다고. 임서기관은 경기고 62회(66년2월 졸업)출신으로 공직생활중인 지난 88년 성균관대 회계학과를 졸업. 임과장의 고교동기생들은 장승우 해양수산부차관, 엄낙용 재경원제2차관보,맹정주 국회재정경제위원회수석전문위원 등 이미 차관급이나 관리관으로 근무중. 재경원관계자는 "비고시출신이어서 한계가 있긴 하지만 변호사나 박사학위등 화려한 자격증이 없으면서도 로펌 고위간부로 옮길 수 있던 데에는 각각 실무경험이 풍부한 증권 및 금융세제 전문가로서 효용가치가 입증됐기 때문일것"이라고.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