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철강기업 90년대 EVA 마이너스에 머물러
입력
수정
국내 철강기업들은 자본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경제적 부가가치(EVA)가 90년대 들어 마이너스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6일 포스코경영연구소가 내놓은 "한국 철강기업의 EVA"에 따르면 국내 상장 철강기업들을 대상으로 90년 이후의 EVA(세후영업이익-자본비용)를 산출한 결과 92,95년을 제외하고는 계속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제품 그룹별로는 강관 철근 특수강을 주력제품으로 하는 업체들의 EVA가 특히 저조해 이들이 취약한 수익구조와 과도한 설비투자로 이중고를 겪고 있음을 드러냈다. 이에대해 연구소는 철강업계의 자본이 그만큼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요인은 기업들의 신중하지 못한 투자행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특히 한보 삼미 등 철강기업의 부도사태도 무리한 양적 성장전략의 후유증이라고 지적하고 투하자본의 효율성을 중시하는 EVA 경영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