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바이올린 표현영역 어디까지..'스톰'/'더 브리지'
입력
수정
바이올린의 표현영역은 어디까지일까. 요즘 주목받는 크로스오버 바이올리니스트 바네사 메이(18)와 유진 박(22)에게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을 것같다. 젊음과 패기, 뛰어난 음악적 감수성과 신세대 감각, 지칠줄 모르는 열정적인 무대매너에 당돌함까지 닮은 꼴인 이들은 최근 각각 발표한 앨범을 통해 바이올린의 가능성은 물론 한계까지 답변해 준다. 바네사 메이의 두번째 팝앨범 "스톰(Storm)"과 유진 박의 데뷔앨범 "더 브리지(The Bridge)". 두 앨범은 한마디로 규정하기 불가능한 복잡한 작품들이다. 크로스오버의 잣대로만 설명할 수 없을 만큼 여러 분야의 음악을 아우르는 뒤죽박죽 앨범이다. 두 연주자가 바이올린뿐 아니라 목소리 연주를 들려준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95년 세계적인 빅히트 앨범"바이올린 플레이어"를 통해 신선한 충격을 던진 바네사는 "스톰"에서도 전작 못지 않은 화려한 테크닉과 폭발적이고 파격적인 사운드를 보여준다. 알비노니의 "아다지오"를 연상시키는 애잔한 서주에 이어 강렬하고 빠른 비트가 반복되는 타이틀곡"스톰"이 나온다. 여기까지는 맛뵈기. 펑키분위기의 "Retro", 바흐의 "파르티타 3번"의 전주곡을 편곡한 "Bach Street Prelude", 캉캉리듬을 장난스럽게 표현한 "Can, Can", 댄스곡 "I feel love", 플라멩고기타주법을 응용한 "Leyenda" 등 바네사는 70여분간 폭넓고 왕성한 소화능력을 과시한다. "더 브리지"는 화려한 기교나 정밀함, 파격의 정도에서는 "스톰"에 못미치지만 클래식 재즈 록 컨트리 랩 국악등을 두루 섭렵한 유진 박의 음악역정이 잘 나타나있다. 바이올린을 독주악기로서보다 음악 구성의 한 파트로서 활용한 것이 두드러진다. 두 앨범은 바이올린이 클래식뿐 아니라 다양한 음악장르에서 훌륭한 악기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바이올린에 전자음을 도입해 들려주는 새로운 주법은 기타나 해금(유진 박) 등 다른 악기의 흉내나 역할대체 수준에 그쳤을 뿐 독창적인 영역 개척에 실패하고 있다. 이색적인 바이올린의 특이함과 젊은 두 연주자의 강한 에너지가 젊은 층을 사로잡고 있지만 음악의 생명은 그리 길지 않으리란 게 음악계 일각의 평가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