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의 날] 대통령표창 '염색기술연구소' .. 중소업체 지원
입력
수정
섬유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핵심분야중 하나가 염색가공기술분야다. 섬유의 날 대통령표창을 받은 염색기술연구소(소장 함정웅)는 지난 94년 12월 3백37억원을 들여 설립됐다. 이 연구소는 짧은 연혁에도 불구하고 염색가공기술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중소염색업체의 공통애로를 해결하는데 큰 몫을 하고 있다. 이로써 국내 섬유산업의 기술력과 생산성을 높여 국제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 주위의 평가다. 염색산업을 환경친화적 산업으로 육성시킬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도듣고 있다. 이 연구소는 염료조제 섬유 등의 성상관찰에 필요한 각종 연구기자재를 도입, 현장공통애로 기술위주로 산.학.연 전문가와 공동연구해 홈닥터식의 직접지원을 함으로써 중소염색업체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했다. 연구소내에 파일럿공장을 설립, 시제품 생산단계에서 검사에 이르기까지 이 시설을 이용케 함으로써 재정상태가 취약한 중소업체들의 신제품 생산을 용이하게 했다. 원료 용수 전기 스팀 등 시제품 시험비용을 15~30%까지 절감시켰다. 이 연구소는 염색업종을 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첨단염색가공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염색업종을 환경친화적인 산업으로 유도하고 있다. 환경오염방지를 위해 청정염색가공기술 및 염색폐수처리기술을 개발중이다. 공업기반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전자빔을 이용한 염색폐수처리기술 개발을주관했다. 이는 전자빔을 이용해 염색폐수내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폐수속의 유기물을분해시키는 수처리기술이다. 이를 대구염색공단내 폐수처리장에 적용할 예정인데 환경오염방지에 도움이될 것으로 전망된다. 폴리에스터 감량폐액중 부산물을 재활용하는 기술과 염소계 솔벤트타입의 탈지제를 천연오일로 대체한 저공해성 제품도 개발했다. 이로써 염색폐수로 인한 낙동강 수질오염에 적절히 대응할수 있게 됐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