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감원...'노는 남자' 급증..통계청 '3분기 고용동향'

경기불황의 장기화가 고용시장에도 짙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실업자 수는 1년만에 20%이상 증가했고 임시및 일용직 근로자가 49만1천명늘어나는 등 노동시장이 더욱 불안정해지고 있다. 12일 통계청이 내놓은 "97년 3.4분기 고용동향"은 한보.기아 등 대형부도사건들이 실업의 증가와 고용불안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부분별 동향은 다음과 같다. 3.4분기중 실업자는 47만명으로 전년동기 39만1천명보다 20.2%가 늘어났다. 따라서 실업률도 1.8%에서 2.2%로 높아졌다. 돈을 벌기 위해 직장을 구하는 여성들이 늘고 있지만 구직에 성공하는 비율은 높지 않다. 전체 실업자 47만명중 남자가 30만명, 여자는 17만명으로 1년전에 비해 남자는 2만1천명(7.5%) 증가에 그쳤으나 여자가 5만8천명이나 급증, 구직전선에 뛰어드는 여자가 많아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여자의 실업률이 작년의 1.3%에서 올해는 1.9%로 남자의 2.3%를뒤쫓아오고 있다. 특히 학력이 높을수록 실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문대 이상 여성 고학력자 20~24세 구간의 실업률이 6.8%로 작년보다 2.1%포인트나 높아졌다. 남녀 고졸자 실업률이 작년의 2.2%에서 2.7%로 높아지는 등 대체로 학력이높을수록 실업률이 높아서 고학럭자의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신발, 섬유 등 경공업 비중이 높은 부산과 대구의 실업률이 각각 3.6%로 전국 평균 실업률을 1.4%포인트나 웃돌았다. 전체 취업자 2천1백33만6천명은 작년보다 24만3천명 늘어난 것이지만 그 증가율 1.2%는 1년전의 1.8%에 비해 크게 둔화됐다. 또한 늘어난 취업자중 여자가 15만4천명으로 63%를 차지해 여성의 경제참여도가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증가한 취업자중 21만명이 55세 이상이어서 그동안 경제활동에 뜻이 없었던 고령계층이 대거 취업전선에 뛰어들고 있다. 따라서 55세 이상의 전체 취업자가 3백61만6천명으로 작년보다 21만명(6.2%)이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농림어업.광공업이 꾸준한 감소세를 보였고 특히 제조업이 4백41만7천명으로 작년보다 24만7천명(5.3% 감소)이나 줄어 경기불황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반면에 개인사업.공공서비스 부문에서 29만명이 늘어나는 등 3차산업 분야에서 취업자가 4.2% 증가했다. 취업동향의 가장 큰 특징은 상용근로자가 감소하는 대신에 일용근로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만큼 근로형태에 가변성이 커지면서 근로자의 지위는 취약해진 셈이다. 임금근로자중 임시근로자(1개월 이상 1년 미만의 근로계약)는 4백27만5천명으로 9.5%, 일용근로자(1개월 미만)는 1백96만3천명으로 6.5%가 증가했다. 취업자에 실업자를 합친 15세 이상의 경제활동인구는 2천1백80만6천명으로작년보다 32만2천명(1.5%)이 증가했다. 특히 경제활동인구 증가규모중 여자가 21만1천명으로 65.5%를 차지, 여자의노동시장 진입이 두드러졌다. 따라서 남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은 76.1%로 작년보다 0.5%포인트 감소한 반면에 여자는 50.5%로 0.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에 가사 또는 취학 등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는1천3백만1천명으로 작년보다 21만1천명(1.6%) 증가했다. 또 비경제활동인구 증가분중에서 남자가 15만명이어서 그 비중이 71%를 차지, 노는 남자가 많아졌음을 의미했다. 명예퇴직자 등 직장을 그만두거나 사업에서 손 뗀 뒤에 아직 재취업의사를 갖지 못한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는 "연로 및 기타" 사유에 의한 비경제활동인구가 1백20만5천명으로 1년 사이에 13만7천명, 12.8%나 증가한 것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이 범주속에는 지나친 고령으로 도저히 일을 할 수 없는 노인들이 일부 포함돼 있지만 이를 빼면 대부분 일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진으로 구직의 가능성이 없다고 스스로 판단하고 구직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대거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3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