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가] '보급형 채널 도입' 케이블PP-SO 입장 팽팽
입력
수정
보급형채널 도입을 둘러싸고 케이블TV프로그램 공급업자(PP)와 종합유선방송국(SO)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보급형채널이란 케이블망이 깔려 있는 지역에서 가입자들이 컨버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공중파, 위성채널과 KTV 아리랑TV 방송대학TV등 3개의 케이블TV 공공채널을 볼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것. 시설관리비로 1천~5천원의 요금을 징수한다. SO측은 중계유선의 불법영업에 대응하고 가입자를 확보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보급형 채널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현재 부산 일부지역에서 시행중이고 성남방송은 기존 중계유선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추진중이다. 황선욱 은평방송 사장은 "보급형 채널의 도입은 케이블TV를 정착시키기 위한 과도기적 제도일뿐"이라며 "SO들은 보급형채널 시청자를 케이블TV 가입자로 전환시키기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PP측은 SO가 중계유선에 대응하기 위해 보급형채널을 운영하는 것은 SO 스스로 종합유선사업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보급형 채널이라는 것이 사실상 중계유선과 차이가 없다는 것. 최근 열린 실무대표자회의에서 PP들은 SO들이 보급형채널 시행을 원한다면 보급형채널에도 컨버터를 설치토록 하고 컨버터 보증금및 사용료는 선투자 차원에서 무료로 해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또 현재 방식대로 보급형채널을 실시한다면 PP들도 중계유선에 방송을 송출할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PP들이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SO들이 공공채널외에 시청률이 높은 채널 몇개를 "홍보차원"에서 함께 서비스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 PP쪽에서는 이에 대해 채널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티어링제도의 전단계가 아니냐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공보처는 당초 보급형채널의 도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PP들의 반발이 거세자 신중하게 고려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결국 PP와 SO의 합의가 관건. PP의 공식적인 반대에 SO측이 어떻게 입장을 정리할지 주목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