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서비스업 늘고 제조업 감소..통계청 발표 96년 사업체

지속적인 경기침체와 실직자수의 증대로 인해 지난 한햇동안 우리나라에서가장 많이 늘어난 사업체는 숙박및 음식업체와 서비스업이었던 반면 도.소매업과 제조업의 창업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용증가율이 높은 사업체는 금융및 보험업과 건설업이었고 고용감소폭이 큰 사업체는 광업과 도.소매업등의 순인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96년 사업체 기초통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사업체수는 2백80만8천개로 전년(2백77만1천개)보다 1.3%(3만6천3백74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숙박및 음식업체는 3만2천6백25개가 새로 생겨나 가장 많이 늘어났고 공공.사회및 개인서비스업체(7천8백7개) 보건및 사회복지사업체(4천4백93개) 건설업(2천5백66개)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반해 도.소매및 소비자용품 수리업체는 무려 1만3천2백27개가 줄어들었으며 제조업과 부동산 임대업체도 각각 6백27개와 3백40개가 감소했다. 이에따라 전체 사업체중 도.소매및 소비자용품 수리업 사업체수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35.6%(99만9천4백21개)를 차지했으며 숙박및 음식점업(19.7%) 제조업(11.2%) 등이 다음으로 높았다. 이와함께 전사업체에 근무하는 종사자수는 1천4백만7천명으로 전년(1천3백63만9천명)보다 36만7천명(2.7%) 증가했다. 또 개별사업장당 평균 종사자수는 5.0명이었으며 광업이 49.0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가스.수도사업 40.0명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 35.4명 금융및 보험업 20.9명 제조업 12.0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종사자수를 고용지위별로 살펴보면 상용종사자가 9백28만6천명(66.3%)으로전체 근로자 세명중 두명꼴이었으며 자영업주및 무급가족종사자가 3백20만3천명(22.9%)이었다. 이밖에 임시및 일일종사자는 1백12만8천명(8.1%), 무급종사자는 38만7천명(2.8%)으로 집계됐다. 한편 우리나라 사업체의 평균존속기간은 6.1년으로 조사됐다. 숙박및 음식업과 건설업은 각각 3.8년과 4.6년으로 존속기간이 짧았으나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과 어업은 각각 26.0년및 21.1년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