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와 함께 하면 든든해요" .. 사내정보흐름 효율성 높여
입력
수정
"첨단 정보기술로 무장하면 IMF한파가 두렵지 않다" 브라운관 생산업체인 삼성전관. 이 회사는 올해말까지 3천억원의 여유자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갖고있다. IMF영향으로 감원을 해서라도 살아남으려고 발버둥치는 다른 기업들과는 경우가 사뭇 다르다. "배부른 소리"를 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사정을 들여다보면 수긍이 간다. 이 회사는 지난 95년말부터 새로운 정보기술(IT)로 매출증대와 비용감소를 철저히 준비해와 충분히 가능하다고 자신하고 있다. 이를 위한 비장의 무기는 ERP.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으로 풀이되는 ERP는 한 기업의 전사업부문에서 운영되는 정보를 물흐르듯이 연동시킬 수 있게 하는 신개념의 정보시스템. 판매직원이 자재부의 재고관리상태를 클릭만으로 바로 파악할 수 있을뿐아니라 개발부서에서도 실시간으로 사내의 매출현황과 재고현황을 볼 수 있게 된다. 당연히 각 부서가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된다. 생산과 개발과정에서의 비용과 시간이 줄어들뿐 아니라 정확한 정보를 보유해 업무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 삼성전관은 독일SAP사의 ERP인 "R/3"을 도입, 지난해 중반 국내 전 사업장에 대한 구축작업을 완료했다. ERP도입으로 제품 주문에서 출고까지의 리드타임을 4분의1로 줄였다. 인력과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였다. 매출목표도 지난해보다 16% 높은 3조6천억원으로 늘려 잡았다. 경쟁력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ERP구축으로 거둬들일 여유자금을 새 사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삼성전관의 예처럼 국내에서는 새로운 정보기술에 대한 성공사례가 이제 막 나오기 시작한데 비해 해외에서는 성공사례가 널려있다. 특히 DW(데이터웨어하우스) DM(데이터베이스 마케팅) KM(지식관리) 등 새로운 정보기술을 이용해 막대한 비용절감 효과를 거둔 예가 많다. 미국 유니언퍼시픽철도사가 대표적인 케이스. 총 4천대의 기관차와 22만5천대의 열차를 2만3천6백마일에 걸쳐 운행중인 이 회사는 DW시스템을 구축해 연간 수천만달러의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DW는 말그대로 데이터의 창고로 수많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한 후 이를 이용해 갖가지 경영정보를 뽑아내는 정보시스템. 유니언은 DW구축후 경쟁사와의 중복운행구간을 파악하고 이를 재조정해 매달 30만~40만달러의 비용을 절감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제품의 최적 매매시점을 계산해 냄으로써 연간 1백만달러의 세금을 절감했다. 세계적인 통신업체인 미국 MCI는 총 1억3천만명의 고객 데이터베이스(DB)를기반으로 새로운 마케팅기법을 구사하는 DM시스템을 구축, 매년 1천만달러의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KM은 조직내에 흩어져 있는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통합관리하는 첨단 정보시스템으로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도입붐이 일고 있다. 국내 IT업계 관계자들은 "선진 기업의 예에서 보듯 어려울 때일수록 정보시스템에 투자해 지금의 IMF난국을 헤쳐나갈뿐 아니라 21세기도 준비하는 지혜가 절실한 때"라고 입을 모았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