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극복 새주역 '벤처산업'] 탈불황 '열쇠' .. 중기 육성

"벤처산업으로 총체적 경제난국을 돌파하라" 신정부 출범이 1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가적 위기국면을 헤쳐나갈수 있는 대안으로 벤처산업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신기술.지식집약형의 벤처기업을 많이 확보하는 길만이 와해지경에 이른 국력을 되살릴수 있다는 지적이 강도높게 제기되고 있다. 과연 새정부의 화두이자 산업구조 조정의 핵으로서 다시 주목받는 벤처산업이 IMF 위탁경제의 멍에를 벗게하는 치유제가 될수있을 것인가. 또 새대통령의 의지대로 벤처창업의 확산을 통해 대량실업 문제를 해결할수있을 것인가. 신정부가 출범에 맞춰 24,25일 양일간 국회에서 "벤처플라자"를 개최하게 된 것은 이런 물음에 대한 답을 찾으려는 의지의 표현이랄수 있다. 마땅히 그래야한다는 당위성의 역설이기도 하다. 그런데 벤처산업의 현주소는 어떠한가. 벤처산업은 지난해초부터 육성 바람을 타기 시작해 중반기에는 버블로 표현될만큼 과열되다 가을께부터 급랭과 쇠락의 길로 접어드는 듯 했다. 특히 기아사태와 IMF신탁통치등 국가적 위기상황을 맞으면서 벤처기업들도예외없이 극심한 자금난과 부도의 회오리에 휘말려들었다. 벤처기업에 대한 정부의 각종 지원책은 구호에 그쳤을뿐 현실적으로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새정부가 벤처산업에 다시 정책적 무게를 얹어주고 국가 전략산업으로서 실질적인 육성에 나선다는 방침이어서 벤처업계는 자못 기대를 걸고있다. 지구촌의 개별국가 경제상황을 살펴보면 벤처육성의 당위성은 확연해진다.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이 경기하강 선상에 있는데 비해 유독 미국 대만 이스라엘이 상승곡선을 지향하고 있다. 바로 벤처산업을 꽃피운 점이 이들의 공통점이다. 미국경제의 체질을 강화시킨 것은 지식 혁신 스피드를 주무기로 볼륨을 키워온 실리콘밸리의 벤처기업들. 수년간에 걸친 대대적인 산업구조조정에도 불구, 미국이 낮은 실업률을보이는 것은 이러한 벤처기업들이 고용창출에 지대한 공헌을 했음을반증해준다. 우리의 경쟁국이었던 대만은 "개미군단"의 위력을 발휘하면서 이제 우리나라를 훨씬 앞질러가고 있다. 중소 벤처기업들의 혁신적 기업활동과 국제화가 경쟁력강화의 요인이다. 90년대 들어 구소련에서 이민온 유태계 과학자들에 의해 피어나기 시작한 이스라엘의 벤처산업은 벤처 드라이브정책의 성공적 사례로 꼽힌다. 정부의 강력한 벤처정책에 힘입어 이스라엘은 전국토가 벤처산업단지화 됐을 정도이다. 미국 나스닥시장에 상장된 이스라엘계 기업이 80개를 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닌 것이다. 우리로선 이러한 벤처 성공사례를 면밀히 분석해 우리실정에 맞는 것은 원용할 필요가 있다. 그만큼 시행착오의 비용을 줄일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벤처 선진국의 좋은 제도를 본뜬 흔적이 곳곳에 나타난다. 에인절(개인투자자)의 벤처산업 유인책, 이스라엘 요즈마펀드와 같은 공공벤처캐피털의 조성계획, 업종별 전문 벤처펀드 결성, 산.학.연 공동연구단지인 테크노파크 건립, 인큐베이터의 확충 등이 그런 예이다. 다시말해 벤처산업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가 선진형으로 쫓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벤처산업 기반은 장기적 안목에서 추진해 가야할 부분이다. 신정부가 당장 조치를 취해야할 대목이 있다. IMF 한파로 흑자도산 위기에 처해있는 우량 벤처기업에 대해 한시적으로 특단의 조치가 강구돼야 한다는 점이다. 새싹(창업)을 키우는 일 못지않게 성장한 나무(유망기업)를 가꾸어 재목(성공기업)으로 키우는 일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와함께 기존 중소기업들을 벤처기업으로 재탄생케해 경쟁력을 배양하는 것도 긴요한 일이다. 다음으로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처럼 벤처산업의 성패를 가름하는 코스닥시장을 활성화시킬수 있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 아울러 벤처기업 육성을 위해선 벤처캐피털등의 투자재원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상품으로서 벤처금융의 경쟁력을 높이고 외국투자가를 유치할수 있는 유인책 마련에 인색하지 말아야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창투조합 출자자에 대한 세제혜택 확대, 창투조합존속기간 창투사의무출자비율 투자의무비율 등을 자유화하는 신종투자조합(미국식 벤처펀드)의 허용 등이 그런 예이다. 지난 96년 6월부터 투자조합에 대한 외국인들의 출자가 금지됨에 따라 악영향이 얼마나 컸는지를 새겨볼만 하다. 95년 21개 조합(3천3백59억원)이 결성됐고 96년 상반기중 7개조합(1천2백90억원)이 결성되다 96년 하반기 3개 조합(1백52억원), 97년 6월까지 이뤄진 조합은 7개(8백86억원)에 불과하다. 결국 "벤처기업 긴급지원-제도개선과 코스닥시장활성화-벤처문화 및 인프라구축"의 수순을 밟아 거품이나 불합리가 배제된 진정한 벤처 토양이 갖춰질때 벤처산업이 한국경제의 활력을 회복하고 미래를 기약하는 모티브가 될수 있을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