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재평가 개선] '사례로 본 개선 효과'
입력
수정
이번 자산재평가제도의 보완으로 84년이후 토지를 취득한 기업및 금융기관들은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총자산 1조5천억원(부채 1조2천억원+자기자본 3천억원)을 가진 A사를 통해그 효과를 가늠해 보자. 현재 이 회사의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총자산)은 20%,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은 4백%에 달한다. A사가 종전 기준에 의해 자산재평가를 할 경우 84년이후 취득토지는 재평가대상에서 제외돼 현재 장부가격인 1천억원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싯가로 계산된 83년이전 토지취득분(3천억원)과 건물(1천5백억원)가격에 84년이후 취득토지의 장부가격(1천억원)을 합해 보면 A사의 자기자본은 5천5백억원이 된다. 종전보다 2천5백억원이 늘어난 자기자본을 갖게된 A사는 부채변동없이 총 1조7천5백억원의 자산을 갖게 된다. 이 경우 자기자본비율은 종전 20%에서 31.4%로 높아지고 부채비율은 4백%에서 2백18.1%로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달라진 재평가제도를 도입하면 A사의 재무구조는 더욱 좋아진다. 장부가격 1천억원으로 책정돼 있는 84년이후 토지취득분이 재평가대상에 포함돼 2천5백억원으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A사는 사실상 자기자본을 이루는 모든 자산을 재평가받게 되는 셈이다. 이 경우 싯가로 계산된 A사의 자기자본은 7천억원. 부채변동없이 총자산도 1조9천억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따라 자기자본비율36.8%, 부채비율은 1백71.4%로 더욱 개선된다. 자산재평가전보다는 두배이상 좋아지는 셈이다. 이같은 방식을 은행에 대입해도 마찬가지다. 재정경제원에 따르면 현재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 7.3%인 시중은행에 대해 모의재평가를 해본 결과 자기자본비율이 10.0%로 높아졌다. 또 자기자본비율이 4.3%에 불과한 또다른 은행은 국제결제은행의 기준 8%를거뜬히 넘어서 8.7%에 육박했다. 이는 자산재평가가 BIS의 자기자본비율 산정기준인 자본금과 재평가적립금에 플러스효과를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재경원 관계자는 "기업마다 자산구조가 달라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84년이후 토지취득분이 많을수록, 장부가에 비해 싯가가 더 높을수록 재무구조 개선효과는 더 커진다"고 설명했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