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대통령 취임] 새정부 경제과제 : '외채협상'
입력
수정
급박하던 외환위기 상황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희망적인 신호들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국제신용평가기관인 S&P사는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B+에서 BB+로 3단계나 상향 조정했다. 무디스사도 현재 "부정적"으로 돼있는 전망을 "안정적"으로 수정할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IMF와 미국도 우리의 개혁추진을 긍정적으로 평가, 대외적인 신뢰도회복을 측면 지원하고 있다. 실제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서도 외국인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살아나기 시작하고 있고 금융기관들의 단기외채연장률도 날짜별로 70%와 1백% 사이를왔다 갔다하고 있는 양호한 상황이다. 산업은행 등 우량 금융기관들이 해외차입을 재개했고 기업부문에서도 외화차입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현재 상황은 S&P가 평가한 신용등급 BB+ 수준과 한치도 다르지 않다. 3단계나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투자적격등급의 한단계 아래로 투자하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평가되는 등급이다. 넓게 보면 정크본드수준의 신용등급이다. 외채만기연장협상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고 아시아지역 금융위기의 불씨가 꺼지지 않았으며 국내적으로는 3월 대란설이 잠복해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외채구조조정협상을 성공적으로 마치고외환보유고를 충분히 쌓아 일단 외환수급상의 위기를 벗어나는게 관건이다. 뉴욕협상에서 국내금융기관들의 단기외채를 정부가 보증하고 리보(런던은행간금리)에다 2.25~2.85%의 가산금리를 붙여 장기외채로 전환한다는 원칙에 합의하기는 했다. 이같은 합의서에 서명할 기관이 얼마나 될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재정경제원측은 2백40억달러의 만기연장 대상 외채중 80% 수준인 1백90억달러 가량에 대해 구두로 동의를 받은 것으로 집계했다. 적지 않은 규모이지만 우리가 외환위기를 확실하게 벗어나기에 충분한 수준은 아니다. 1백여개가 넘는 외국금융기관이 참여하는 협상에서는 채권은행단내에서의 신뢰분위기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채권금융기관들 사이에 이탈분위기가 확산되기라도 한다면 우리의 외환위기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중국이 위앤화를 평가절하할 가능성이 있고 인도네시아도 고정환율제로의 복귀논란과 폭동 등 불안요인이 겹쳐 있어 다른 아시아국가의 위기가 우리나라에 다시 어떤 폭풍우를 몰고올지 모르는 상황이라는점이다. 우리로서는 27일부터 도쿄 뉴욕 런던 파리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되는 로드쇼(투자설명회)에서 뉴욕협상에서 소외된 유럽의 군소은행과 미국 일본의 지방은행들을 끌어들이는데 주력해야 한다. 이들은 개별적인 대출규모는 작지만 모두 합칠 경우에는 규모가 만만치 않은데다 우리의 상황을 제대로 알지 못해 쉽게 만기연장을 포기할수 있는 기관들이다. 국제금융계가 우리의 개혁청사진과 외채원리금 상환보장을 신뢰하도록 설득하는데 정부는 물론 각 금융기관이 총력을 기울여야할 때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