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업계 "우리 차례냐" 우려 고조..구조조정 대책마련 부심

리스업계가 금융산업 구조조정의 새로운 대상으로 떠오르면서 대책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언제 어디서부터 어떻게 구조조정이 시작될지 전혀 감을 못 잡고 있다. 특히 지난 11일 열린 대통령주재 첫 경제대책조정회의에서 리스사에 대한 개혁론이 거론된데 이어 은행감독원이 25개 전업리스사 경영실태 조사에 전격 착수함에 따라 리스업계에 대한 개혁작업이 본격화되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리스업계에서는 "하필이면 우리가 두번째 희생자로 나서나"는 불만이 터져 나오는 한편으로 앞으로 살아남기 위한 다각적인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는 현실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현재 리스업계가 안고있는 문제는 크게 두가지다. 하나는 눈덩이처럼 불어난 부실자산이고 다른 하나는 신용실추에 따른 유동성 부족문제. 특히 유동성문제는 상당수 리스사가 하루하루를 연명해갈 정도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게 업계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에따라 업계에선 구조조정작업에 들어갈 경우 비용을 최소화하는 쪽으로정책결정이 이뤄지길 바라고 있다. 종합금융사와 같은 강제적인 퇴출은 98년1월1일부터 시행된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르면 근거가 없을 뿐 아니라 심각한 금융파국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 구체적으로는 유동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배려가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총채무액이 43조원에 달하는 리스업계가 연쇄부도를 맞을 경우 전체금융권에미칠 파장이 엄청난 만큼 우선 부도사태부터 막아야 한다는게 그 이유다. 성업공사나 가교리스사를 설립, 부실채권을 넘긴 다음 자산을 재평가해 살아남을 수 있는 리스사를 가려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대안도 그래서 나오고있다. 이 과정에서 경쟁력있는 리스사와 그렇지 못한 회사가 자연스럽게 가려질 수 있어서다. 또 대부분 리스사가 은행을 모기업이란 점에 착안, 모은행을 통한 점진적인구조조정도 가능하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리스자회사 부실이 곧바로 모은행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아 금융당국이 은행을 통한 개혁에 나설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개발리스 관계자는 "업계의 어려움에는 원달러환율 급등 등 예기못했던 변수들도 많이 작용했다"며 "생산설비공급이란 리스산업의 역할을 감안한 정책이 긴요하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