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평가] 외국기관서도 사후평가 '빈발'

신용평가기관이 매기는 등급판정은 믿을만한가. 한국의 외환위기과정에서 드러난 외국 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조정은 이러한 의문을 던지기에 충분했다. 미래의 투자 전망을 제시하는게 목적인 평가등급이 현실적으론 사후적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무디스는 일본 야마이치증권이 지난해 11월21일 파산한 뒤에야 평가등급을 투기단계로 내렸다. S&P는 열흘이 더 지나서야 한꺼번에 5등급을 내렸다. 바트화 폭락이 시작된 태국에 대해 S&P는 7월까지 등급 조정이 필요없다고 했다. 8월13일 태국정부가 국제통화기금(IMF)구제금융을 요청한 뒤에야 서둘러 등급을 낮췄다. 세계적 명성을 자랑하는 신용평가기관들도 이처럼 제대로 평가전망을 내보내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표변했던게 사실이다. 나아가 영국의 피치-IBCA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조정과정에서의 잘못을 솔직히 시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용평가기관의 한마디는 기업은 물론 한 국가의 운명까지도 좌지우지하고 있는게 사실이다. 거기에는 기본적으로 철저한 신용분석과 공정한 평가가 있어서다. 국내 기업들이 조금이라도 좋은 등급을 받기 위해 로비를 펼치는 것도 신용평가사들의 평가등급이 중요한 투자지표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신용평가시장이 점점 커져가는만큼 국내 신용평가기관도 스스로의 권위를 위해 더욱 공정해야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4월 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