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는 해' 미쓰비시..이윤 극대화 등 소홀 대부분 큰폭 적자

"지는 해 미쓰비시" 포브스지가 최신호에서 다룬 미쓰비시그룹 특집기사 제목이다. 미쓰비시는 1백27년의 역사를 지닌 일본의 대표적 기업. 연필에서부터 우주선까지 안만드는 게 없다. 세계 최대규모인 도쿄미쓰비시은행도 갖고 있다. 미쓰비시그룹의 연간 매출액(3천7백억달러)은 작년 일본 GDP의 10%와 맞먹는다. "일본의 자부심"이라고 말하기에 손색이 없다. 그러나 지난해 실적은 이를 증명하지 못하고 있다. 전자는 8억4천6백만달러의 적자를 냈다. 자동차의 부채비율은 3백50%나 된다. 뉴질랜드등의 해외공장은 철수중이다. 화학은 간신히 손익분기점을 맞췄다. 세계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도쿄미쓰비시은행은 계열사들의 부진으로 58억달러의 적자를 떠안아야할 운명에 처했다. 포브스는 이를 "일본식 경영의 몰락"으로 분석했다. 미쓰비시는 주주의 이익보다 종업원과 회사를 더 중요시하는 일본식 경영을 고수해왔다. "우리회사 주식을 산 투자가들이 재미를 보지 못한다면 내다 팔면될 것 아니요"(미쓰비시 중공업 아이카와 켄타로회장)라는 말은 "미쓰비시정신"을 대변한다. 포브스는 하지만 미쓰비시정신은 이익의 극대화라는 자본주의 기업의 기본원칙에 철저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자본의 생산성은 미국 업체보다 37%나 떨어지고 노동생산성역시 45%나 뒤지는 것(맥킨지보고서)으로 나타났다. 또 신규사업을 할 때도 외국기업보다는 일본기업을 합작회사로 선택했다. 누가 돈을 더 많이 벌어줄 것이냐는 기준은 적용되지 않았다. 투명한 경영에도 실패했다는 게 이 잡지의 주장이다. 총회꾼들의 농간에 놀아나고 폭력배들과의 유착으로 3명의 사장이 구속되기도 했다. 공룡의 몸집을 하고 있더라고 이익의 극대화라는 기본원칙에 철저하지 못하면 도태될 수 밖에 없다는 게 미쓰비시의 교훈이라고 포브스는 결론을 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4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