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시대 소비자 구매행태 변화] 경제위기 원인 전망 등

경제위기의 원인 전망 =정부차원의 부정 부패가 경제위기를 초래했다는응답이 84.8%로 1위를 차지했다. 잘못된 정부정책이 경제위기를 불렀다는 응답이 79.6%로 그뒤를 이었으며 국민의 과소비를 원인으로 지적한 비율도 67.4%에 달했다. 사기업의 부정 부패와 부채를 원인으로 꼽은 응답도 57.9%와 47.8%의 높은수준을 나타냈다. 경제전망은 향후1년간 사정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52%로 호전을 예상한 비율(10%)을 크게 앞질렀다. 경제위기 체감정도 =IMF의 영향을 가장 심각하게 느끼는 계층은 기혼의남자직장인(58%)과 전업주부(53%)들이었다. 반면 미혼의 직장여성들이 IMF 영향을 체감하는 비율은 27%에 머물렀다. 지역별 체감정도는 광주와 부산지역 소비자들이 63%와 55%로 1,2위를 차지했다. 경제위기후 가정경제의 가장 심각한 변화는 돈씀씀이가 위축된 것(74%)이었다. 소비자들이 꼽은 최대경제현안은 실업문제(45%)였으며 물가상승을 지적한 응답도 25%에 달했다. 소비생활 영향 =IMF 관리경제가 시작된 후의 소비생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0%이상이 IMF전보다 위축됐다고 밝혔다. 생계유지차원의 기본지출은 평균 21.7% 줄었으며 일반지출감소폭도 평균 33.8%에 달했다. 소비수준은 IMF이전을 1백으로 놓고 볼때 4월이 57에 불과, 수개월 사이에 거의 절반으로 줄어들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IMF전보다 쇼핑을 줄였다는 응답자가 90%를 넘었다. 쇼핑시 이용횟수가 늘어난 장소는 할인점이 63%로 1위를 차지했다. 가계소비지출 =영향을 크게 받은 가계소비지출항목은 외식비(87%) 여가.취미활동비(84%) 의류.신발(83%) 순이었다. 외식비의 경우 지출을 줄였다는 비율이 65%, 외식을 하지 않는다는 비율이 22%였다. 의류.신발은 지출을 줄인 비율이 74%, 구매하지 않는다는 비율이 9%로 조사됐다. 가장 영향이 덜한 항목은 주거비(26%)였다. IMF시대의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불요불급한 지출을 최대한 억제하는 방향으로 소비구조를 바꾸고 있음을 알수 있다. 상품별 변화 =금융상품중 저축성예금에서 저축및 투자감소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40.2%의 응답자가 저축성예금을 줄였다고 답했다. 현금보유규모가 줄었다는 응답자도 58.9%에 달했다.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은 신규가입자보다 해지자수가 월등히 많아 악화된 경제상황과 그에따른 가계소득감소의 후유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보험상품중에는 생명보험(46.7%)과 노후연금보험(43.4%)의 해지율이 교육.자동차보험보다 높게 나타났다. 해지,재투자 =금융상품해지는 대체로 단기소비지출을 목적으로 하거나 현금을 보유하려는 의도로 평가되고 있다. 주식투자의 경우 IMF이후 중단했다는 응답이 8%로 나타난 반면 늘렸다는 답은 1.1%에 불과했다. 금융상품 해지비율은 정기적금(11.7%) 정기예금(9.4%) 생명보험(6%) 노후연금(5.3%) 순이었다. 재투자의 경우 소비(41.3%) 현금소유(19.4%) 정기예금(16.6%) 부채청산(6.8%) 투자신탁(6.3%)의 순으로 나타났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