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통령, 대기업 빅딜 강력 촉구] '재계 비상'
입력
수정
김대중 대통령이 16일 "빅딜" 추진을 기정 사실화하자 재계에 비상이 걸렸다. "구조조정 촉진을 위한 빅딜이 진행되고 있다" "시장경제원칙에 어긋나는 빅딜은 말도 안된다" "3개 그룹이 사업교환에 합의했다" "모든 것은 루머다" 등 그동안 세간에 나돌던 각종 "설"들이 김 대통령의 한마디로 정리됐기 때문이다. 이제 남은 것은 빅딜이 언제, 어떤 모습으로 가시화될 것이냐 뿐이다. 상위 3대그룹이 대형 사업을 서로 맞교환하는 "이벤트"가 열리고 이를 계기로 대기업그룹군의 구조조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구조조정의 "태풍"이 재계에 몰아칠 것이란 얘기다. 모 업계 관계자는 "경제단체장과의 오찬간담회를 하루 앞둔 시점에서 대통령이 직접 강도높은 기업구조조정을 주문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퇴출기업명단 발표가 코앞에 다가온 만큼 기업들은 처음부터 다시 짠다는 각오로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방관하는 것이 시장경제가 아니다"라고 한 김 대통령의 발언을 언급하며 "이번에도 구조조정작업을 어물쩍 넘어가다가는 큰일난다는 것이 기업들의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재계의 이같은 분위기는 이날 김 대통령의 발언 직후 나타난 대기업들의 움직임에 그대로 반영돼있다. 그동안 소위 "삼각 빅딜"의 대상으로 지목돼온 현대 삼성 LG그룹 등은 이날 공식적으로는 "모르는 일"이라면서도 "빅딜 이후"를 준비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삼성은 "빅딜은 정치권에서 먼저 제기된 만큼 어느 기업이 참여했고 어느 기업이 반대했는지도 정치권에서 확인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현대는 그동안 빅딜과 관련 "요청받은 적도 검토한 적도 없다"라는 공식입장을 보여왔다. LG는 "빅딜은 기업간의 합의와 자율성에 따라 이뤄져야지 인위적이거나 강제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 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들 그룹들은 극비로 상층부에서 빅딜 논의가 진행됐을 가능성에 대비해 빅딜 이후 과제를 점검하는 작업에 곧바로 착수했다. "내줄" 기업과 "받을" 기업에 대한 자료 수입과 분석에 기획 및 재무부서 임직원을 투입했다. 특히 빅딜이 성사될 경우 협상과정에서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 손익계산에 분주한 모습이었다. 재계 관계자들은 "빅딜이 공식 발표되더라도 부채및 보증 정리와 인원 승계 등 문제와 관련한 해당 업체들의 승강이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바빠진 건 빅딜 관련 그룹들뿐만 아니다. 나머지 대기업들도 구조조정 계획을 원점에서 다시 짜기 위해 기획부서에 비상을 걸었다. 모 그룹 관계자는 "정부는 기업의 자체적인 구조조정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 개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그럴 경우 강제적인 구조조정에 희생양이 될 수도 있다는게 하위그룹들의 우려"라고 전했다. 비교적 건실한 상위그룹마저 정부가 보다 가시적이고 "감동적인"인 구조조정을 요구받는 마당에 하위그룹들이 피해갈 곳은 없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들은 그래서 하위그룹들의 경우는 최근 모든 계열사를 없애고 주력사 몇개만 남기기로 한 효성이나 한일, 거평 등의 경우처럼 눈에 띄는 구조조정 계획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보고 있다. 그것도 퇴출기업 명단 발표이전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빅딜로 시작된 구조조정 태풍이 이번 주 내내 맹위를 떨칠 것이란 얘기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1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