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행정 '기업 마인드' 접목..이필곤 부시장 임명 배경
입력
수정
서울시 민선2기 행정1부시장에 전문경영인인 이필곤 삼성 중국본사회장이 임명돼 화제가 되고 있다. 고건 당선자가 이 회장을 시 부시장에 전격 발탁한 것은 시행정에 민간기업의 경영마인드를 불어넣겠다는 강력한 의지표명으로 풀이되고 있다. 서울시 행정1부시장으로 내정된 이 회장은 대표적 전문경영인으로 "골수삼성맨". 서울 출생인 이 부시장내정자는 지난 65년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삼성그룹 공채6기로 삼성물산에 입사했다. 이후 삼성중공업과 제일제당을 거쳐 81년 삼성물산 전무로 복귀했다. 그는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아 삼성물산회장, 중앙일보 사장, 삼성신용카드회장, 삼성 21세기기획단 회장, 삼성자동차 회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지난 97년1월이후부터는 삼성 중국본사회장직을 수행해왔다. 특히 삼성물산이 경영난관에 봉착해있던 80년대 중반에 사장으로 취임,경영혁신을 통해 이 회사를 연 3년간 종합상사 매출1위의 기업체로 다져놓기도 했다. 그의 업적으로는 "팀제"를 국내대기업으로선 처음 도입한 것이 꼽힌다. 이 실험은 당시 동맥경화현상으로 일컬어지던 대기업증후군을 개선시키는데큰 기여를 했다. 또 각 영업부서에 자본금을 할당, 적자부서는 스스로 사업을 정리하도록 하는 "사내자본금제"를 파격적으로 도입한 것도 그의 업적이다. "개인보다 조직"이라는 경영철학을 갖고 있다. 부하에게 많은 권한을 주되 책임은 철저히 묻는 스타일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고 시장당선자가 이회장을 발탁한 것도 이러한 경력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거대한 공룡조직에 비유되는 비효율적인 시조직을 과감하게 개혁하고 구조조정추세에 맞춰 올 한햇동안 2천여명의 직원을 줄이는 조직 군살빼기작업을 강도높게 추진할 적임자라는 얘기다. 이 부시장내정자는 남이 권하는 술을 마다않는 두주불사형이지만 아무리 마셔도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는다는 평. 이수빈 삼성생명 회장, 이대원 삼성자동차부회장과 같은 서울대 상대 출신으로 삼성 공채 6기 시대를 연 주역. 밖으로는 정.관.재계인사들과 두루 교분을 쌓을 정도로 대인관계가 원만하다. 민간기업경영자 출신인 그가 민간기업의 경영마인드를 서울시 행정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혈할지 관심거리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