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I면톱] 대러시아 경협차관 회수 애로
입력
수정
러시아가 금융위기로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기로 한 가운데 한국이 러시아에 제공한 14억7천만달러의 경제협력차관 상환이 계속 늦어지고 있다. 또 국내 은행 종금 투신사들이 투자한 17억6천만달러의 러시아 국공채 가격이 절반이하로 폭락, 적지않은 피해가 예상된다. 13일 재정경제부는 지난 91년 경제협력 차원에서 러시아에 빌려준 은행차관10억달러, 수출입은행의 소비재차관 4억7천만달러 등 총 14억7천만달러의차관중 지난 6월말까지 원자재 등 현물로 되돌려 받은 금액은 2억8천2백만달러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말까지 받기로 약속된 4억5천만달러의 63%에 그치는 것이다. 이와관련 재경부의 김성배 경제협력과장 등 실무자들이 최근 러시아를 방문, 조속한 차관 상환을 촉구하고 내년 이후 상환 일정을 논의했으나 확정하지 못한채 돌아왔다. 내년이후 러시아로부터 되돌려 받아야 할 차관은 원금 12억달러와 연체이자4억달러를 포함해 총 16억달러에 달한다. 또 국내 은행과 종금 투신 증권사등이 고수익을 기대하고 투자한 러시아 국공채도 최근 가격이 절반이하로 떨어져 이들 금융기관들은 손실을 피할 수없게 됐다. 루블화 가치마저 폭락할 경우 환차손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재경부 관계자는 "러시아 경제상황이 최근 악화돼 경협차관 상환이 제때 이뤄지지 않고 있는건 사실"이라면서도 "국제관행상 떼일 염려는 전혀없다"고 말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