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1 재보선] 민생외면...정쟁...불신 자초 .. 투표성향

"7.21 재.보궐선거"의 최대 특징은 낮은 투표율이다. 일반 유권자들의 정치에 대한 불신과 무관심이 투표율에 그대로 반영됐다. 최종 집계된 평균투표율이 40%선에 머물렀으며 최대 접전지역이라는 광명을에서조차 투표율은 50%를 겨우 턱걸이했다. 이같은 투표율은 지난 4.2 재보선 당시 61.3%보다 20%포인트 이상 낮고,지금까지 치러진 15대 국회의원 재보선(9개) 평균투표율 53.3%보다 10%포인트 이상 낮은 수치다. 여기엔 정치문제가 이슈화되기 힘든 국제통화기금(IMF)시대의 유권자 정서가 크게 작용했다. "은행퇴출과 기업구조조정 등 국가적 현안이 산적해 있음에도 여야가 정쟁에만 몰두해 유권자들의 냉소주의를 부채질했다"(선관위 관계자)는 뜻이다. 선거일이 휴가철과 겹친데다 공휴일이 아니었다는 점도 투표율을 떨어뜨린요인으로 분석된다. 이번 선거에서도 서울종로,서초갑 등 도시지역 선거구의 투표율이 강릉을,해운대.기장을 등 농촌지역의 투표율보다 크게 낮은 도저농고현상이 재연됐다. 낮은 투표율은 선거구별로 여야후보들의 당락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광명을의 경우 표의 응집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여권표가 조세형후보의 당선에 도움을 줬지만 수원팔달의 경우 반대로 구 여권조직을 흡수한 남경필한나라당 후보가 조직표의 반사이익을 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와중에서도 "지역주의"는 한국 정치판에서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는이슈임이 이번 재.보선을 통해 재차 확인됐다. 접전지역으로 꼽혔던 광명을에선 호남표와 충청표가 조세형 국민회의후보에 쏠려 당선을 확정지었다. 반면 여성표와 영남표는 전재희 한나라당후보에 몰린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주의는 이른바 "DJP" 연대에 의한 여권후보의 약진에서도 확인된다. 서울 종로의 노무현후보가 개인적 지명도에다 호남(25%)과 충청(15%)표까지등에 업어 당선된 것은 이를 입증한다. 역으로 "반DJ정서"가 뿌리깊은 서초갑과 대구북갑에선 예상대로 한나라당 후보가 무난히 당선됐다. 부산 해운대.기장을에서 자민련후보가 당선된 것이 눈에 띄는 부분이지만 이 역시 기장 출신 김동주후보가 경남 합천 출신 안경률후보를 누른 "소지역주의"로 해석하는 게 타당하다. 소지역주의는 한나라당 "부산불패"의 전통마저 깨뜨린 것이다. "지역할거주의"가 여전히 한국정치판을 해석하는 유효한 분석도구임을 드러내는 부분이다. 여성표의 향배도 주목해 봐야할 부분이다. 이번 선거에서 유일한 여성후보가 나온 경기광명을 지역을 포함해 야권후보가 여성표를, 여권후보가 남성표를 많이 얻었다고 선관위 관계자는 분석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