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 '콜렉트콜' 서비스 폐지 반발
입력
수정
전화를 받는 사람이 요금을 내는 수신자부담 전화서비스(일명 콜렉트콜)의폐지를 앞두고 시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있다. 14일 한국통신은 "수신자부담 전화서비스는 수익성이 낮아 더이상 계속할수 없다"며 "16일 0시를 기해 전면 폐지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한국통신이 수익성을 올리기 위한 노력은 전혀 기울이지 않고 군인 서민 해외유학생등의 생활에 필수적인 서비스를 갑자기 중단한다는 것은 횡포"라며 강력히 비난하고있다. 시민 이종엽(29.중랑구 면목동)씨는 "늦은 밤 지갑을 잃어버려 집에 콜렉트콜로 전화해 위기를 모면한 적이 있다"며 "적자가 나면 요금을 올려서라도 이 서비스는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 서부전선에서 군복무를 했다는 곽규하(28.충북 청원군)씨는 "1만원도 안되는 월급으로 집에 시외전화를 하기가 어려워 콜렉트콜로 항상 안부전화를 했다"며 "열악한 환경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이 서비스는 없어져선 안된다"고 말했다. 현재 이 서비스는 월평균 3백만통 이상의 이용횟수를 기록할 정도로 서민들이 애용하고있다. 특히 수해지역에서는 평소보다 2배이상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신자부담서비스는 일반전화는 101번, 공중전화는 긴급버튼+107번을 누르면 교환원이 직접 연결하며 통화료는 수신자가 부담하게된다. 조선말 우정국시대부터 시작, 1백여년동안 지속돼온 한국의 통신역사상 가장 오래된 서비스이기도 하다. 시민단체들도 크게 반발하고 있다. 녹색소비자연대의 허윤정 상담실장은 "14일 수신자부담서비스를 일방적으로 폐지하려는 한국통신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다"고 밝히고 "앞으로 이 계획을 한국통신이 철회할때까지 법적투쟁을 계속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통신은 "지난해 1백43억원의 적자를 볼 정도로 수신자부담서비스는 수익성이 전혀 없다"며 "대안으로 내놓은 후불제카드의 일종인 KT카드가 일반화되면 이 문제는 해결될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미국 일본등과 같은 통신 선진국에서도 요금체계와 비용개선을 통해 이익을 보면서 수신자부담 전화서비스를 지속하고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1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