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한국창조 21] '정보화사회 현주소와 과제' .. 설문조사

우리나라 국민들은 앞으로 10여년안에 정보사회가 정착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정보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컴퓨터사용법을 배우는등 적극적으로 투자할 생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주부등을 대상으로 폭넓은 정보화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일상생활에서 쉽게 쓸수 있는 전자도서관 등의정보서비스 개발, 보급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는 현대경제연구원이 14일 발표한 "정보화수용도 국민여론 조사"보고서에서 밝혀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 3,4일 이틀동안 전국의 15세이상의 남녀 6백40명을대상으로 이뤄졌다. 주요 내용을 요약 소개한다. ====================================================================== [ 본사-현대경제사회연구원 공동 국민여론조사 ] 정보서비스 인지도및 활용실태=전반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C통신 및 전자우편을 이용해본 경험을 가진 사람은 39,8%, 홈뱅킹이나 홈쇼핑 등은 30%로 내외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상품 등을 구입하는 전자상거래나 재택근무 전자결재 원격화상교육 전자도서관 등을 이용해본 사람은 10%미만이었다. 전자상거래란 말을 아예 들어본 적이 없다는 응답도 44.5%에 달했다. 또 전자화폐나 전자결재는 물론 전자도서관, 집이나 투표소에서 전자시스템으로 투표를 하고 자동으로 집계되는 전자투표, 원격재판도 절반이상이 생소하다고 답했다. 인터넷이나 PC통신도 별로 활용하지 않는 편이었다. 전혀 이용하지 않은 경우도 28.6%에 달했고 18.7%는 거의 이용하지않는다고 답했다. 자주(한주에 2번이상) 쓴다는 응답은 25.8%였다. 인터넷이나 PC통신을 이용하는 목적은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정보를 얻기 위한 경우(58.0%)가 절반이상 차지했다. 업무상(23.9%) 이용하는 사람도 많았다. 정보서비스 이용 의사=경제 사회분야 서비스에 대해서는 비교적 많이 알고 있으나 사용할 생각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 문화에 관련된 서비스의 경우 거의 들어보지는 못했지만 적극적으로 사용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특히 응답자의 90%이상이 홈쇼핑에 대해 알고 있지만 이용하겠다는 비중은 낮았다. 반면 양방향TV 등은 잘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지만 절반이상이 적극적으로이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또 PC통신 및 전자우편(66.2%)이라든가 여가생활안내 홈뱅킹 원격진료 등도 이용할 생각이 강한 서비스로 선정됐다. 그러나 전자화폐 원격재판 전자상거래와 집에서 전화나 PC통신으로 주문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재택행정서비스 등에 대해선 보다 대중화된 다음에 이용하겠다는 소극적인 응답이 많은 편이었다. 앞으로도 아예 이용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은 홈쇼핑 원격재판 전자결재 전자화폐 등의 서비스부문에서 10%이상 나와 눈길을 끌었다. 컴퓨터 이용실태=응답자의 절반이상(55.8%)이 가정이나 직장에서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쓰고 있는 컴퓨터는 주로 펜티엄급이다. 직장에선 76.7%, 가정에선 63.5%가 이 기종을 사용하고 있다. 또 486급을 쓰는 경우도 직장에선 17.6%에 그쳤지만 가정에선 30.7%에 달했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은 직장인의 경우 하루평균 2시간이며 4시간이나 6시간, 9시간정도 사용하는 사람들도 각각 15%정도로 나타났다. 가정에선 개인의 취향에 따라 사용시간이 다양했다. 1주일에 평균 2시간정도 쓰는 경우가 24.9%로 가장 많고 11시간이상 사용하는 사람들도 전체의 16.8%에 이르렀다. 용도는 업무용이 36.1%로 가장 많고 교육이나 학습(19.9%) 개인자료 작성이나 관리(13.4%) 오락이나 취미(10.9%) PC통신(10.6%)등의 순이었다. 정보사회 대응의지=국내 정보사회는 10여년내에 정착될 것이라는 견해가 응답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38.8%는 2005년이내를 내다봤고 46.7%가 2010년을 예상한 것이다. 정보사회가 실현되면 정보소통이 원활해져 계층간 격차가 해소될 것이란 견해는 28.1%에 그쳤고 대부분 정보가 부유층에 집중돼 계층간 격차가 심화될 것(70.5%)으로 내다봤다. 응답자의 절반정도가 정보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어 정부차원의 정보화 적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큰 어려움없이 적응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8.2%인 반면 전체의 46.7%는 적응이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렇다고 정보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적극 투자하겠다는 의사는 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보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능력을 키우는데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투자(37.8%)하거나 부담이 안된다면 투자하겠다(44.8%)는 사람이 절대다수를 차지한 것이다. 무리를 해서라도 개인적인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겠다는 사람은 5.8%에 그쳤고 투자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도 11.4%나 됐다. 소프트웨어(SW) 구입행태를 보면 국내 이용자가 투자에 무척 인색하다는게잘 나타난다. 컴퓨터를 구입할 때 받은 소프트웨어(SW) 말고 따로 SW를 설치한 경우는 29.4%에 불과했다. 그중에서 정품을 사다 설치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59%였다. 정품SW를 사지 않는 이유로는 주변에서 손쉽게 복사할 수 있기 때문(44.2%)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가격이 비싸서라는 응답도 30.2%에 달했다. 정책과제=응답자들은 정보사회를 실현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로 컴퓨터 대중화가 안된데다 교육환경이 열악하다는 점을 꼽았다. 불법복제가 성행하는등 컴퓨터사용자들의 의식부족을 지목한 응답도 비교적 높았다. 정보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정부는 국민들의 이해를 촉진시키고 정보문화를 확산시키는데 최대 역점을 둬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전체의 3분1이 이점을 지적했고 정보화기반시설 확충과 컴퓨터 및 SW산업 육성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사람은 각각 각각 16.7%였다. 정보통신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일이 시급하다(12.5%)거나 컴퓨터를 통한 사생활침해 등의 범죄를 방지하기 위한 법제도정비를 서둘러야 한다(11.9%)는 지적도 많았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1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