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그룹 '빅딜'] '빅딜 관련 일지/발언'

98.1.13 김대중 대통령 당선자, 4대그룹 총수 회담에서 "경영 역량을 주력핵심사업 부문에 집중함으로써 국제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 1.21 김원길 국민회의 정책위의장 "주력 기업을 강화하고 기업간 빅딜이 자율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 1.23 김 당선자, 일본 아사히신문 회견서 "대기업 그룹별로 주력기업 5개 남기고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 1.30 박태준 자민련 총재 "재벌 개혁 5대 원칙중 하나가 빅딜" 2. 2 김 당선자 "재벌에 빅딜 계획서 요구한 적 없다"며 빅딜 추진 부인 2. 3 김우중 대우 회장, 언론인터뷰서 "빅딜은 하루 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2. 5 대우경제연 빅딜보고서 "현대 반도체, 삼성 가전 경쟁력 없다" 파문 2.19 김 당선자, 기자간담회서 "은행 중심으로 빅딜 이뤄질 것" 4.20 김 대통령, 경제6단체장 청와대초청 간담회서 "대기업은 남들이 욕심내는 좋은 기업을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으며 김우중 전경련 차기회장은 "재계 구조조정 성과가 하반기에 가시화될 것" 이라고 화답 6. 1 박태영 산자부 장관 "10억달러 빅딜 여러건 진행중" 발언 6.10 김중권 대통령 비서실장, 능률협회 조찬회서 "빠른 시일내 기업쪽에서 빅딜 발표할 것" 발언 6.10 전경련, 김 실장 발언에 "빅딜 논의 전혀 없었다"고 해명 6.13 김 대통령, LA 간담회서 강제적인 빅딜 추진설을 부인하면서도 5대 재벌의 자발적 구조조정을 촉구하면서 빅딜 가능성 시사 6.16 김 대통령, 국무회의서 "대기업 한곳이 거부해 안되고 있다. 5대 그룹이 빅딜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현대 삼성 LG 3각 빅딜 파문 6.17 김 대통령, 경제 6단체장에 "전경련서 빅딜 결의해야" 6.19 전경련 회장단 임시회의 "시장경제와 기업자율 원칙하에 기업간 빅딜 및합작, M&A 적극 추진" 밝혀 7. 4 정부 전경련 회장단 청와대 오찬간담, 빅딜의 신속한 자율추진 등 9개항 합의 7.10 금감위 "재벌 그룹 빅딜에 적극 안나서면 금감위가 나설 것" 경고 7.15 김우중 전경련회장대행 "하반기중 빅딜 성사 적극 나서겠다" 7.26 이규성 재경부장관, 21세기 경영인클럽서 "빅딜 통해 재벌 핵심 역량강화" 7.26 제1차 정.재계 정책간담회 "5대 그룹 자율적 조기 빅딜 합의" 7.31 김우중 전경련 회장 대행, 관훈클럽서 재벌정책에 불만 표시 8. 3 김 대통령 "재벌 주력기업 재편 지지부진" 재벌간 빅딜 추진 강조 8. 4 박태영 장관, 중복투자 10대 산업 구조조정안 청와대 보고 8. 6 공정거래위 5대 재벌 위장계열사 조사 8. 7 제2차 정.재계 정책간담회서 8월말까지 빅딜 포함한 산업별 구조 조정안 마련 합의 8.10 전경련 구조조정 실무추진반(태스크포스) 1차 회의 8.13 2차 태스크포스 회의서 5대 그룹 우선 빅딜 합의 8.31 5대그룹, 유화.항공.철도차량 업종 구조조정 잠정합의 8.31 산자부, 10개 중복.과잉투자 업종을 7개 업종으로 변경 9. 3 5대그룹 최종 합의, 구조조정안 발표.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4일자 ).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