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장기신용은행 합병 합의] '의미와 향후 절차'

국민은행과 장기신용은행의 합병은 "상업+한일은행" "하나+보람은행"과는 차원이 다른 것으로 평가된다. 우선 두 은행 모두 우량은행이다. 또 기업금융(장기신용)과 소매금융(국민) 분야에서 각기 독보적 존재다. 합병에 따른 시너지(상승)효과는 업무영역이 비슷한 상업+한일이나 하나+보람의 경우와는 판이하다. 그만큼 국민은행과 장기신용은행의 합병합의가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다. 은행산업 어떻게 달라지나 =은행감독원의 공식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국민+장신은의 총자산은 96조9천4백69억원에 달한다. 상업+한일(96조1천2백40억원)보다 규모가 더 크다. 국민은행이 인수한 대동은행의 자산(7조7천2백14억원)을 합치면 1백4조6천6백83억원이 된다. 국내에선 유일하게 총자산 1백조원이상인 초대형은행이 탄생하게 된다. 두 은행의 자기자본은 3조7천억원으로 상업+한일의 2조7천억원보다 1조원가량 많다. 하나+보람의 1조3천억원보다는 2조원이상 많다. 명실공히 국내 1위 은행으로 올라서는 셈이다. 국민+장신은은 더욱이 합병후 곧바로 외국자본을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국민은행이 추진중인 3억달러의 외자유치는 마무리 단계에 와있다. 또 장기은행이 3억달러,국민은행은 추가로 3억5천만달러의 외자유치를 추진중이다. 국민+장신은의 이같은 위상은 리딩뱅크 싸움을 가속화하는 계기로 작용할 전망이다. 개별적으로 외자를 유치할 수 있는 두 은행이 합병을 선택한데는 리딩뱅크가 되지 않고는 생존하기가 버겁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리당뱅크자리를 놓고 일단 국민+장신은이 상업+한일과 겨루는 양상이 형성돼 있다. 그렇지만 조흥 외환은행이 짝을 찾아 경쟁대열에 가담할게 뻔하다. 국민은행의 최대 라이벌이었던 주택은행도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게됐다. 그러나 갈수록 합병할 수 있는 대상(Pool)은 좁아지고 있다. 서둘지 않으면 낙오하기 십상이다. 그래서 국민+장은은 제4,제5의 은행합병을 연쇄폭발시킬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앞으로 절차 =두 은행은 내년 1월4일 합병은행을 출범시킨다는 계획이다. 시일이 촉박하긴 하지만 금융산업구조개선법이 국회를 통과해 일정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오는 11일 오전 10시 은행회관에서 합병을 공식발표한 뒤 합병사무국을 구성, 합병에 관한 세부사항을 논의하게 된다. 합병비율은 실사를 거쳐 확정키로 했다. 등기는 국민은행을 사용키로 했다. 이름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장기신용은행이란 간판은 완전히 내리기로 했다. 국민은행이란 이름을 계속 사용하든지, 제3의 이름을 사용할지는 추후 결정키로 했다. 현재로선 국민은행을 계속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국민은행은 그러나 장기신용은행의 장점을 합병은행에서 그대로 살리기로 했다. 기업에 대한 여신부문에 노하우가 있는 장기신용은행의 장점을 그대로 계승한다는 것이다. 합병성공의 관건 =가장 큰 문제는 정부지원이다. 지난 6월말 현재 두 은행의 무수익여신은 국민 14조5천4백억원, 장기 12조7천9백20억원에 달한다. 이를 어떤 식으로든 해소하지 않으면 합병성공을 장담할수 없다. 결국 정부가 얼마나 부실채권을 매입해줄 것인지가 합병성공의 관건이다. 정부는 일단 외자유치를 통한 재무건전화를 권하고 있다. 외자를 일단 끌어들이되 이 과정에서 정부지원이 필요하다면 충분히 지원하겠다는 생각이다. 또다른 문제는 직원감축과 자본금감축(감자) 여부다. 국민은행의 직원수는 1만2천7백10명에 달한다. 장기은행은 1천10명이다. 상업+한일처럼 대규모 감원은 아니더라도 상당한 감축이 필요하다. 특히 장기신용은행에 얼마나 "기득권"을 인정해줄지가 관심이다. 감자의 경우 당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합병비율이 결정되면 신주를 바꾸는 과정에서 자본금 감축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1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