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Win-Win 전략] '임대로 가구전시장 마련'

국제통화기금(IMF)시대에 무리한 투자는 금물이다. 특히 많은 자금을 투입해야하는 부동산 투자는 더욱 그렇다. 예전처럼 시세차익을 노릴 수 없는데다 금리가 높은 상황에서 남의 돈을 끌어들일 경우 높은 이자부담때문에 낭패를 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임대나 맞교환 등 투자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쪽으로 눈을 돌리는 것이 좋다. 경기도 광주군에서 가구공장을 경영하고 있는 김경철(43)씨는 이같은 흐름을읽고 발빠르게 대처, 부동산 재테크에 성공한 케이스. 김씨는 불황으로 가구판매가 나날이 줄어들자 전시장을 개설키로 결심했다. 위치는 물류비용이나 사업성을 고려, 공장에서 가까운 대로변이 적당할 것으로 보고 곧장 부지물색에 들어갔다. 필요한 면적이 매장(1백평)과 주차장(2백평)을 포함 모두 3백평 정도였기 때문에 대형 나대지를 중심으로 찾았다. 하지만 이내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땅값이 평당 1백50만원선이어서 필요한 땅을 모두 매입하려면 4억5천만원이필요한데다 전시장을 짓는데 필요한 건축비와 인허가비용이 1억5천만원으로추산됐기 때문. 여유자금이 2억원밖에 없던 김씨로서는 감당할 수 없는 금액이었다. 은행융자도 고려해봤지만 이자때문에 엄두가 나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이 전시장 마련의 꿈을 버리고 말았다. 그러던중 광주군 초월면 쌍령리 3번국도에 접한 나대지 3백20평이 임대매물로 나왔다는 소식을 친구를 통해 듣게 됐다. 조건은 보증금 3천만원에 월세 50만원. 계약기간 5년이 지나면 전시장을 땅 주인이 넘겨받는다는 단서조항이 있었다. 김씨로서는 이 땅이 자신의 공장과 차량으로 15분거리인데다 고속도로와 국도진입이 쉬운 곳에 위치, 사업성이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또 주인에게 소유권을 이전시켜줄 전시장을 계약기간후에도 계속 임대해주겠다는 약속을 받았기 때문에 손해볼 것이 없다고 생각, 바로 계약하고 1백20평짜리 전시장을 지었다. 김씨는 전시장을 마련하는데 건축비로 1억2천만원(평당 1백만원), 임대보증금 3천만원, 인허가 등 기타비용 1천만원 등 모두 1억6천만원이 들었다. 땅을 사서 전시장을 마련하는 것에 비해 비용이 4분의1밖에 들지 않은 것이다. 기회만 잘 활용하면 보유보다는 임대가 비용이 훨씬 싸게 들면서도 생산성을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