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면톱] 단지내 상가 여전히 '인기'..일정 수요층 확보
입력
수정
입주를 앞두고 있거나 입점중인 대단위아파트 단지내 상가가 안정적인 투자대상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단지내 상가는 일반상가에 비해 사업초기 투자비용이 적은데다 일정규모 이상의 배후수요층을 확보하고 있는게 장점. 5평정도의 경우 분양가를 포함해 점포를 개설하는데 1억~1억5천만원 정도면 충분하다. 또 직영외에도 임대를 통해 연 10%안팎의 임대수익을 확보할수 있고 상권이활성화되면 권리금과 매매차익을 기대할수 있다. 그러나 상가투자는 입지여건을 비롯 업종 교통여건 주변상권 등에 따라 성패가 좌우되니만큼 꼼꼼한 사전시장조사가 필요하다. 분양현황 IMF관리체제에도 불구하고 단지내상가는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택지개발지구에 들어서는 대단지아파트 상가는 치열한 경쟁속에 예정가보다 높게 낙찰되는 추세. 최근 실시된 수원 정자지구 현대.벽산아파트(8백가구)의 상가 입찰은 15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내정가격의 두배가 넘는 평당 2천28만원에 낙찰됐다. 또 지난 9월의 수원 영통지구 주공6단지 상가도 평당 2천4백43만원의 낙찰가에 경쟁률이 30대1에 달했다. 이밖에 대전 송촌지구 현대.대우아파트(1천1백46가구) 상가 등 단지규모가 1천가구를 넘고 상가면적이 0.5평이하인 곳은 대부분 10대1이상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현지부동산업소들은 하반기들어 독점업종이 보장되는 1층상가의 경우 응찰자가 늘어나고 평당낙찰가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한다. 투자포인트 상가투자시 우선 고려해야 할 점은 상가의 적정규모다. 가구당 상가면적이 0.5평이하라야 투자성이 있다. 아파트 연면적이 1천평일 경우 상가면적이 5평을 넘지 않아야 한다는 얘기다. 상가면적이 작을수록 독점업종이 보장되고 장사가 잘돼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후수요층 규모와 평형구성에 대한 분석도 필수. 서울 및 수도권은 최소한 5백가구이상, 지방은 8백가구를 넘어야 안정적인매출이 가능하다. 또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32평형미만 소형아파트 입주자들은 인근 상가 이용률이 높고 중대형아파트 입주자들은 백화점이나 쇼핑센터를 선호한다. 이밖에 인근에 백화점 재래시장 할인점이 있는 곳과 지하층상가는 경쟁력이떨어져 가급적 피하는게 바람직하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2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