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의 역학 이야기] 도선

학술적 가치를 지닌 풍수학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는 대략 신라통일 이후로 잡는다. 당나라와 문화적 교류를 빈번하게 함에 따라 자연히 묻어 들어온 이론체계라할 수 있다. 현재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풍수의 흔적으로 경주 초월산 숭덕사 비문의 내용을 든다. 그러나 본격적인 시작은 옥룡자 도선국사(827~898)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도선은 통일신라에서 고려초기의 승려다. 속성은 김이고 전남 영암에서 태어났다. 15세에 지리산 화엄사에 들어가 승려가 되어 불경을 공부하고, 4년만에 득도하여 신승으로 추앙받았다. 이때부터 수도행각에 나서 삼천리 방방곡곡을 누볐으며 종내에는 전라도 백계산의 옥룡사에 머물다가 죽었다. 그의 풍수이론은 고려, 조선시대를통하여 우리 민족의 가치관에 큰 영향을 끼친 학설로 평가받는다. 저서에 도선비기가 유명하다. 조선의 이태조옆에 무학대사가 있었듯이 고려태조 왕건의 옆에는 당대의 신승 도선이 왕사의 역할을 담당했다. 왕건은 후삼국을 통일한 뒤 새 나라의 도읍을 정하는 문제를 도선에게 일임하였다. 도선은 송도(개성)의 산세와 지형을 살핀후 천년도성의 역량이 있는 땅이라 단언했다. 그러나 고려의 역사가 천년을 끌지못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풍수의 제일가를 형성한 신승 도선이 실수를 했던 것일까.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적 일화가 전해진다. 도선이 송악의 지리를 살필 당시 날씨가 흐리고 짙은 운무때문에 멀리 동남쪽의 방향을 잘 분별할 수가 없었다. 동남방에는 한양의 삼각산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 산은 수도 개경에 대해 그 운을 호시탐탐 엿보는 도적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결국 날씨 때문에 풍수판단에 착오가 생겼다는 것인데 어쨌든 이러한 논의가 있었음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개성 덕암리의 등경암과 오천의 좌견교를들 수 있다. 땅의 결함을 보충하는 의미에서 도적을 쫓는 등불과 개를 동원한 흔적이다. 성철재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2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