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공동기자 회견 내용'

김대중대통령과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21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가진뒤공동기자회견을 통해 북한 지하시설 의혹을 포함한 한반도 현안에 대한 협의내용을 밝혔다. 공동 기자회견 내용을 간추린다. 김대중 대통령 모두발언 =우리 두 정상은 최근 북한의 태도를 검토했으며 대북 포용정책이 현실적으로 최선의 정책이며 이를 일관성 있게 추진해 가기로 했다.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개발한다면 이를 용납할 수 없음을 분명히 했으며 이문제는 대화와 교섭을 통해 긴밀히 공조해 가기로 했다. 지하의혹시설 문제는 한반도 안보에 심각한 문제로 상당한 의혹이 있는 만큼 충분한 현장 접근을 통해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 클린턴 대통령 모두발언 =제네바합의는 북한핵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길이며 평양은 약속을 지켜야 한다. 우리는 대포동 미사일과 지하 의혹시설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나눴으며 북한은 의혹을 만족스럽게 해소해야 한다. 김 대통령이 한국의 금융위기를 잘 다뤄 경제를 다시 성장의 길로 올려놓고 있는 것을 높이 평가한다. 미국은 수출입은행을 통해 이미 40억달러를 신용대출했으며 앞으로 2년간 80억달러(단기자금 연장 포함)를 지원하겠다. 기업구조조정을 이루기 위해 대기업 등이 자기역할을 다해야 한다. - 북한의 핵의혹이 규명되지 않아도 계속 포용정책을 추진할 것인가. 김 대통령 =북한의 태도에는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면이 있다. 지하의혹시설에 대한 접근과 사실여부 확인은 분명히 해야 한다. 만일 확인되면 이를 중단시키도록 해야 한다. 북한과의 대화는 인내심을 갖되 단호한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클린턴 대통령 =북한이 제네바 합의를 지키지 않으면 미국의 지원이 어려워질 것이다. 우리는 지하시설에 대한 의혹을 제기할 증거를 가지고 있지만 그 시설이 무엇인지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정확히 모른다. 북한은 한국의 현 북한정책이 김 대통령이 취할 수 있는 최대한의 조치라는점을 잘 알 것이다. 북한은 신뢰를 잃게 되면 매우 불행하게 될 것이다. -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방안은 무엇인가. 클린턴 대통령 =우리가 진실로 바라는 것은 북한이 제네바 협약을 지키는 것이다. 북한이 정책을 변화하지 않으면 피해는 결국 그들에게 돌아갈 것이다. - 양국정상이 대북경제제재에 대해 협의를 했는가. 김 대통령 =정상회담에서 직접 논의하지는 않았으나 대체적인 의견접근을 봤다. 미사일 문제 등에서 북한이 협조적으로 나오면 경제협력을 포함한 인센티브를 줄 것이다. 클린턴 대통령 =어제 TV에서 금강산 관광선 사진을 봤다. 대단한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북한이 더 이상 위협적이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우리의 힘과 부와 행복이 북한에 전해지기를 바라며 금강산 관광선을 통해그 가능성이 높아지리라고 생각한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2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