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면톱] 수익증권 수탁고 80%증가..금융상품 선호도 변화
입력
수정
지난해 외환위기 이후 단기공사채형 수익증권, 거주자외화예금,신종적립신탁, 우체국예금 등은 뜬 반면 가계금전신탁, CD, RP, 표지어음,적금.부금 등은 가라 앉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14일 "외환위기 이후 M3(총유동성)구성 주요 금융상품 증가율 추이"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 9월중 수익증권 수탁고는 작년 9월보다 79.9%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총통화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9월에는 1.8%에서 올 9월에는 7.9%로 늘어났다. 이로써 주요 금융상품 비중순위가 14위에서 3위로 뛰어올랐다. 예금은행 저축성예금(정기예금 포함)은 20.4%의 증가율을 보여 순위 1위를고수했다. 지난해말 판매된 신종적립신탁은 전체의 5.4%를 차지, 6위로 떠올랐다. 외화예금도 2.2%의 비중을 보이며 일약 12위로 떠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우체국 예금도 1.0%의 비중을 보이면서 20위권에 들어왔다. 한국은행은 단기공사채형과 신종적립신탁의 경우 유동성과 수익성이,우체국예금과 정기예금은 안전성이 돋보여 인기를 끈 것으로 분석했다. 거주자외화예금은 달러를 확보하려는 기업의 필요성 때문에 수신고가 늘어났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이에반해 수익성과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생명보험상품의 비중은 13.1%에서 11.5%로 줄었다. 예금보험대상에서 제외된 가계 금전신탁의 순위는 지난해 7위에서 올해는 2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지난해 9월 20위권안에 있었던 양도성 예금증서(CD) 환매채(RP) 표지어음등 단기상품도 올해는 모두 순위밖으로 밀려났다. 실직 감봉 등으로 해약이 늘어나면서 은행의 적금.부금도 지난해 3위(비중 8.4%)에서 7위(4.6%)로 주저 앉았다. 금융상품의 기간별 비중의 경우 단기예수금은 지난해 9월 26.2%에서 올 9월 39.1%로 증가한 반면 장기예수금은 73.8%에서 60.9%로 감소했다. 은행및 투신사 단기금융상품의 증가가 두드러진 반면 은행 신탁계정,상호신용금고, 새마을금고, 신협 등의 장기상품은 감소세를 보였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1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