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와 우호협력 강화..김대통령, 아세안 정상회담 성과

김대중 대통령은 2박3일간의 베트남 공식방문과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정상회의 참석을 통해 그간 미.중.일 위주로 펼쳐온 외교행보의 균형을 잡았다. 아세안 9개국과 한.중.일 3국(9+3), 아세안 9개국과 한국(9+1)간의 회의 형태로 열린 이번 정상회의에서 김 대통령은 아세안이 경제는 물론, 정치 안보 등 각부문에서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 아세안측으로부터 공감을 얻고 "동류의식"을 심었다. 아세안이 정상회의때마다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북아 3국을 초청, 사실상아세안 정상회의를 9+3회의로 확대 발전시키기로 한 것은 우리측 입장에서는 아세안과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큰 기회를 얻은 셈이다. 한국이 가입한 지역협력체는 지금까지는 유일하게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뿐이었지만 이제 경제뿐 아니라 정치, 안보 등 모든 분야를 포괄하는 지역협력체로 발전 잠재력이 큰 아세안과 중.일이 함께 참여하는 정례적인 협의채널을 확보하게됐다. 이런 점에서 김 대통령의 동아시아 지역협력에 관한 비전그룹 구성검토 제안 대 아세안 유.무상 지원 확대 약속 대 아세안 정상외교 활동강화 방침천명 등은 아세안에 대한 강력한 협력강화 의향을 천명한 것으로 봐도 좋을 것이다. 아세안과의 상호협력 필요성은 아세안이 우리에게 두번째로 큰 수출시장(2백억달러)이자 최대 무역흑자지역(78억달러)일 뿐 아니라 최대건설시장(누계 2백92억달러)이라는 점에서도 한눈에 드러난다. 즉, 아세안은 우리에게 미래의 시장일 뿐 아니라 국내 경제회복이라는 당면 과제를 위해서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지역인 것이다. 강봉균 청와대경제수석은 "아세안 경제가 빨리 회복되지 않으면 한국의 내년 수출과 경기회복 및 무역흑자 목표가 당장 영향을 받게 된다"며 아세안에 걸린 한국의이해관계를 설명했다. 강 수석은 이와함께 한국이 경제규모가 월등한 중.일과 동등한 지위를 아세안으로 인정받은 점도 성과로 지적했다. 김 대통령은 한편 베트남과는 트란 둑 루옹 주석, 레 카 퓨 공산당서기장 등과의 회담을 통해 과거사를 매듭짓고 미래지향적인 우호협력관계의 기반을 구축했다는 게 참모진의 자평이다. 특히 김 대통령이 한국에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베트남 파병 문제를 "불행했던 과거"라는 표현으로 먼저 나서서 거론한 데 대해 베트남 지도자들은 "과거사 문제는 극복됐다"(퓨서기장)며 미래지향적인 우호협력관계를 강조, 대베트남 관계에서 장애물을 제거한 셈이다. 김 대통령의 베트남 공식방문은 아직은 베트남의 현 경제여건상 "미래"시장을 개척하는 의미가 더 크지만, 베트남의 원유, 가스 등 풍부한 천연자원과 인적자원, 상호보완적인 양국의 경제구조 등을 감안하면 장래성이 큰 시장에 한발짝 크게 다가섰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1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