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과학면톱] 전파간섭 지도에 표시..전자통신연 SW 개발

전파끼리의 간섭현상을 분석, 지도에 표시할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통신서비스업체들은 무선통신망을 손쉽게 설계하고 정부의 주파수 할당업무에 걸리는 시간을 크게 줄일수 있게 된다. 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전파간섭현상 분석 작업을 지리정보시스템(GIS)와결합해 자동으로 처리할수 있는 소프트웨어시스템(REGIS)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펜티엄급 PC에서 쓸수 있다. 이 시스템은 전파간섭현상을 분석하고 전파의 전달특성을 예측할수 있는기능을 갖추고 있다. 특히 데이터 처리 결과를 컴퓨터에 들어있는 지도위에 표시할수 있어 작업결과를 손쉽게 알수 있도록 돼있다. 전파간섭분석기능으로는 2개 이상의 신호가 혼합돼 다른 신호가 발생하는혼변조 인접 주파수 채널간 간섭 전파의 출력에 따른 두 주파수간 이격간격및 기지국등의 이격거리 새로운 무선국 위치 선정시 발생하는 간섭현상 등에 대해 계산할수 있다. 전파전달특성 예측기능을 활용하면 전파가 발사되는 경로에 있는 지형단면도를 표시해 전파가 도달할수 있는 거리를 계산, 전파전달 예측모델을 만들어낼수 있다. 전자통신연구원은 이 시스템으로 기지국 위치및 적정출력등을 손쉽게 알아낼수 있어 무선통신망 설계 작업에 드는 비용을 줄일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전파간섭현상을 자동으로 분석, 정부의 주파수 분배및 할당, 무선국허가업무를 신속히 처리할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자통신연구원은 이 시스템을 최근 부일이동통신 한국통신기술 스펙트럼통신기술 등에 공급했으며 다른 통신서비스업체나 장비업체 등에도보급할 계획이다. 한편 정보통신부는 이 시스템을 중앙전파관리소 각 지방체신청등에 보급,99년 1월부터 주파수할당등 전파관리업무에 활용키로 했다. 정통부는 이를 위해 일선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사용법 교육을 마쳤다. 정통부는 이 시스템을 도입하면 현재 체신청 등이 주파수 할당 등 민원업무를 처리하는데 길게는 7일이나 걸리지만 이를 하루만에 해결할수 있을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통부는 이미 지난 6월 이 시스템을 활용, 남해안의 주파수공용통신(TRS) 혼신 문제를 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