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J 캠페인] 제3부 : (2) '고용창출 메커니즘'..산업소프트
입력
수정
정보 소프트웨어 영상 관광 등 14개 신산업이 왜 실업극복을 위해 중요한지는 미래의 새로운 경제모습과 연관지어 살펴보면 금방 알수 있다. 첫째, 소득상승으로 인한 소비의 탈물품화 현상이 두드러질게 분명하다. 소득상승과 더불어 소비대상이 "식품->의류 및 생필품->내구재->문화.교육.의료.레저 등 서비스"로 변천하게 된다. 이는 "농업->경공업->중공업(전자.자동차 등 내구재 생산)->서비스업"으로 이어지는 경제성장의 견인차 산업의 변천과 맥을 같이한다. 이제 서비스 산업은 "제조업의 지지(support) 부문"이 아니라 "제조업의 견인차(initiate) 부문"이 된다는 의미이다. 대표적인 예가 관광.레저산업, 문화산업, 가사대체서비스산업 등이다. 그리고 이들 산업은 저숙련실업계층의 실업흡수에 대한 정책적 함의가 매우 큰 부문이 될 것이다. 둘째, 산업(특히 제조업)의 소프트(soft)화가 진전되면서 서비스 직무와 서비스 업종이 확대된다. 제조업의 경우 소비의 개성화.다양화 추세로 인해 특화된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조공정의 매인스트림(Mainstream)보다 최종고객에 대해 직접서비스를 제공하는 판매 유통 광고 등의 다운스트림(Downstream)과 끊임없이 다양하고 새로운 상품을 개발해 내야 하는 시장조사 디자인 연구개발 등의 업스트림(Upstream)의 부가가치 창출 역할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다. 산업의 소프트화가 진전됨에 따라 이러한 산업내 부상되는 경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예컨대 아웃소싱 등을 통해) 외부 서비스 부문이 확대된다. 또는 기업내 전문 서비스 부문 (예:소프트웨어 광고 디자인 유통 시장조사 등)이 분사화되면서 타기업으로부터도 수주 받는 전문 서비스 기업으로 탈바꿈되기도 한다. 특히 고학력청년 실업계층을 적극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부문이다. 연구개발.컨설팅산업, 행정서비스 산업 등이 여기에 속한다. 셋째, 전반적인 경제.사회 구조의 네트워크화가 촉진 확대되면서 경제주체간의 거래량이 폭증하게 된다. 동시에 이러한 거래(transaction)를 지원하는, 혹은 거래로부터 파생되는 인프라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급격한 증대가 예상된다. 상품거래의 인프라 서비스로서의 유통부문이 확대될 것이고, 금융거래의 인프라 서비스로서 다양한 금융 부가서비스가 출현할 것이다. 직종으로 보더라도 소비자를 상대로 하는 판매직부터 변호사 회계사에 이르기까지 매우 큰 폭의 직종을 포함할게 확실하다. 따라서 고학력실업층의 흡수 뿐만 아니라 단순저소득 실업계층 흡수의 정책적 함의도 크다. 참고로 미국의 경우 소매판매배달직종이 1990-2000년동안에 3백만개의 순증가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넷째,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정보화의 진전으로 정보의산업화도 진전된다. 정보통신서비스 산업으로는 인프라에 해당하는 기간통신 서비스 부문과 부가통신 서비스를 포함시킬 수 있다. 하드웨어로서 정보통신기기 산업을 들 수 있다. 이 부문에서 제조.수리 인력 및 전자.전산공학 기술자의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이다. 무엇보다도 인력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소프트웨어 부문이다. 일본의 경우에도 2000년에 SE(시스템 엔지니어) 인력이 90만명이나 부족할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영상이 가장 핵심적인 전달매체로 자리 잡으면서 영상부문 전체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영상관련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개발의 콘텐트웨어(content ware) 부문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다섯째, 생명공학(bio technology) 기술의 혁신으로 환경.의료(보건)산업의생산성이 제고, 이 부문의 가격하락이 가능해짐에 따라 소비가 확대될 것이다. 한편 소득상승으로 인한 소득효과로 수요증가의 상승작용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평생고용에서 평생직업 시대로의 이행되고, 기술(지식) 변화의 가속화가 진전되면서, 모든 국민(근로자)의 전문가화와 평생교육의 필요성이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교육 및 인력개발 산업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대될 것이다. ----------------------------------------------------------------------- [ 신산업의 고용창출 흐름도 ] 소득의 상승 -> 소비의 탈물품화 (관광.레저.문화.가사대체) 산업의 소프트화 -> 외부 경영지원서비스 확대 (판매, 광고, 디자인 시장조사, 연구개발) 경제.사회의 네트워크화 -> 인프라서비스 수요증가 (금융부가서비스 유통.배달) 컴퓨터.정보통신 기술발전 -> 정보의 산업화, 영상부문의 급성장 (전산제조.수리 시스템엔지니어링 콘텐츠 개발) 생명공학 기술혁신 -> 환경.의료소비 확대 (의료.보건서비스 환경.실버산업) 평생직업시대 이행 -> 평생교육 수요 확대 (교육.인력개발)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1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