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경영자 연찬회] '격랑속 한국기업 돌파구'..강연 <1>
입력
수정
IMF위기 극복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제22회 전국 최고 경영자 연찬회"가 한국경영자총협회 주최로 20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막됐다. 본사 후원으로 22일까지 계속되는 이번 연찬회는 "격랑속의 한국기업 돌파구는 없는가"라는 대주제를 놓고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석, 강연을 하고토론을 벌인다. 20일에는 김종필 총리가 ''새해 국정운영 방향''이란 제목으로 기조연설을했으며 김덕중 아주대총장, 이진순 한국개발연구원(KDI)원장, 김태동대통령정책기획수석, 정문술 미래산업(주)사장 등이 강연을 했다. 강연 내용을 요약한다. ----------------------------------------------------------------------- 김덕중 우리나라 기업의 성장사를 영화에 비유해 설명해 보겠다. 5.16이후 정부는 감독 노릇을 했으며 기업은 배우로서 참여했다. 영화가 성공해 배우의 주가가 올라갔다. 배우중에 몇 분은 세계적으로 성공했다. 이런 영화에 대해 최근 영화 평론가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경영자와 근로자들이 용기를 갖고 노력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성장을 담보할수 없다. 새로운 경제환경에서는 정부의 역할이 왜소해 질 수밖에 없다. 기업하는 사람을 영웅시하고 애국자라는 분위기가 확산돼야 한다. 선진국의 정부와 은행은 기업을 도와주기 위해 노력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못해 안타깝다. 물론 정부가 새로운 천년을 맞이해 기업들의 과거사를 정리하자고 나서는 것은 대찬성이다 그러나 사회 전체적으로 경제활동 주체인 기업에 대해 죄악시하는 것은 잘못이다. 우리 기업은 50년대 전쟁의 폐허속에서 보따리 장사로 시작했다. 60년대는 차관도입으로 수출전선에 뛰어들었고 70년대 후반기에는 정부의 강권에 의해 중화학공업에 발을 들여놓았다. 중화학공업 투자는 박정희 대통령의 결단이었다. 부총리도 무리라고 반대했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미군철수문제로 소총하나 만들지 못하는 우리나라의 경제수준을 직시하고 중화학에 대한 투자를 강행했다. 중화학산업은 경제논리가 아닌 생존논리와 안보논리에서 출발한 것이다. 그러다보니 정부는 기업에 돈을 배정해 줄수 밖에 없었고 이로인해 성공한기업들이 공룡으로 커지게된 것이다. 이러한 성장 배경을 가진 기업을 상대로 부채비율을 일괄적으로 정리하라는것은 무리다. 공기업에 대해서는 주인을 찾아준다고 하면서 대기업에 대해선 전문경영인 체제를 요구하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업종 전문화정책도 우리 경제 현실을 도외시한 요소가 있다. 만일 우리나라가 대기업 형태가 아니었다면 성장이 어려웠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법이 있지만 이른바 "정치법"과 "떼법"이라는 상위법이 존재한다. 시장 경제는 법의 테두리에서 움직여야 한다. 정치 논리에 의한 정치법이나 단체행동으로 해결하려는 떼법은 사라져야한다. 기업들도 투명성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히 공사를 구분해야 한다. 우리는 개인의 이익을 우선하고 조직을 희생시키는 잘못된 관습을 갖고있다. 최근 미국을 방문했더니 레스토랑에서 영수증을 두개 주었다. 하나는 팁을 포함시키고 하나는 팁을 포함시키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 팁은 회사 비용에 포함시킬수 없어 그렇게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회사 비용으로 비싼 외국차를 몰고 다니는 것도 공사구분이 불명확하기 때문이다. 공사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지도층이 솔선수범해야 한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2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