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알아봅시다) 1인당 사용가능한 물은 약 60만t

지구 표면의 71%를 덮고 있는 바닷물은 전체 물의 97%에 달하지만 사용할 수 없다. 강 호수 지하수등 사용가능한 민물의 양은 3%선인 3경8천9백조t이다. 1인당 60만t정도의 민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빙하로 존재하는 것과 대기층에 수증기로 존재하는 양을 빼면 4백80조톤 정도의 민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민물이 유용하게 사용되는 수자원이다. 이처럼 많은 물도 분포가 고르지 못해 분쟁거리가 되고 있는 것이다. 물 분자는 두개의 수소와 한개의 산소가 공유결합해 이뤄진다. 수소에는 수소(protium.H), 중수소(deuterium.D), 삼중수소(tritium.T)등 세가지 원소가 있다. 산소도 질량수가 16,17,18인 세가지가 있다. 이에따라 수소 2개와 산소 1개로 이뤄지는 물은 18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즉 H2O, D2O, T2O를 비롯 HDO, HTO, DTO 등 다양한 형태의 물이 자연계 어디에나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렇다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은 어떻게 형성됐을까.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해답은 아직 없다. 학자들이 주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가설중 하나는 지각으로부터 물이 생성됐다는 것. 지구표면을 주로 구성하는 규산염은 물을 포함하는 함수결정체였으나 외부에서 열이 가해지면서 물이 빠져 나왔다는 가설이다. 또 지구가 생성된직후 고온상태를 지나 차츰 냉각될때 지구의 내부에서 수증기형태로 발생해 지표로 솟아나왔다는 이론도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10일자 ).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