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은기의 '클린경영'] (10.끝) '윤리경영 실천전략'

IMF 경제체제는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라고 할 수 있다. 실업자의 증가나 기업파산 등 고통을 수반하지만 동시에 우리의 낡은 산업구조를 뜯어고치고 기업체질과 의식을 혁신할 계기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경유착 부정부패 하도급비리 불공정 거래관행 등은 뿌리깊은 고질병으로 지금까지 대증요법만을 써오다가 이번에야말로 근본적인 처방을 할 수있게 됐다. 기업이 투명경영을 하기 위해서는 기업자체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사회전반에 투명성과 신뢰성이 뿌리내려야 한다. 그리고 법질서와 공공질서가 존중돼야 한다. 한국의 경우 경제의 양적팽창과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민주화, 정보화의 물결이 확산되는 것과는 달리 법질서와 공공질서는 제대로 발전해 오지 못한것이 사실이다. 우리가 21세기 선진사회,그리고 고도정보화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사회적 투명성과 공공질서가 뿌리내려야 한다. 그리고 기업은 윤리경영과 사회적 책임을 경영의 최우선 정책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여기선 기업이 윤리경영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제를 몇가지 소개한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기업윤리관을 확립하라. 기업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최고경영자의 가치관이다. 경영자는 지나친 사리사욕을 버려야 한다. 둘째, 기업윤리 강령을 명문화한다. 기업윤리의 개념과 실천방법을 문서로 밝혀야 한다. 실용적인 기업윤리헌법과 기업윤리 강령은 윤리경영의 초석이 된다. 셋째, 기업윤리 경영을 대내외에 홍보한다. 윤리경영을 하겠다는 것을 종업원 주주 고객 일반시민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넷째, 경영전략과 기업윤리를 안배시킨다. 경영활동과 기업윤리는 상호결합돼 상승효과를 내야 한다. 윤리경영은 기업활동에 부담을 주는 것이 아니라 도움을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종업원에게 기업윤리 교육을 실시한다. 종업원들에게 기업윤리의 개념, 실천방법, 사례 등을 교육해야 한다. 여섯째, 윤리적 인재를 우선 채용한다. 직원 채용시 업무능력보다 직업윤리를 더 중시해야 한다. 특히 간부진의 채용시에는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기업윤리 전문가를 활용한다. 선진국 대기업에는 기업윤리 담당임원까지 있다. 한국의 경우 전담 직원을 채용하거나 외부전문가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기업윤리 감사체계를 구축한다. 사장 또는 부사장을 책임자로 한 윤리위원회를 두고 신고와 내부자고발을 적극 응용한다. 컴퓨터 핫라인을 개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문어발 기업윤리에 대한 감사는 정기 또는 수시로 이뤄져야 하고 반드시 부서 평가에 반영돼야 한다. 아홉째, 기업윤리를 기업문화로 정착시킨다. 기업문화란 가꾸어지는 특성이 있다. 기업의 공유가치 속에 윤리성을 뿌리내려야 한다. 윤리적 행동이 칭찬과 포상의 대상이 돼야 하며 청렴하고 직업윤리에 투철한 사람이 영웅으로 떠올라야 한다. 이상의 윤리강령 추진과제들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과제라 할수 있다. 반부패라운드의 출범과 정보화사회의 진전에 따른 투명성의 증가, 그리고 시민단체와 소비자의 감시활동은 기업의 높은 윤리적 행동을 요구하고 있기때문이다. 지금 한국의 대기업들은 빅딜과 구조조정의 압력을 받고 있고 대한항공의 경우 소유 경영자들의 경영방식이 비난을 받으면서 전문경영자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런 현상은 단순하게 사업영역을 조정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거나 경영스타일을 바꾸려는 것이 아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바로 기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에 있는 것이다. 글로벌 경쟁시대를 맞아 한국 기업들은 해외진출을 가속화하고 그만큼 개방의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이는 국경을 뛰어넘는 보편적 윤리와 합리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MF 체제를 한국기업의 구조와 체질을 혁신시키는 계기로 삼아야 하며 특히윤리경영의 도입과 실천을 위한 대전환점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