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II면톱] 아시아기업 개혁의지 후퇴 .. WSJ 경고
입력
수정
아시아기업들이 구조개혁을 지연시킨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8일 금융위기 직후 대대적인 개혁에 착수했던 한국 태국등 아시아기업들이 주가상승과 경기회복을 기회로 삼아 개혁작업을 늦추거나 아예 취소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신문은 태국의 경우 금융위기 당시 수천개 기업이 도산위기에 몰렸지만 지금까지 주요 기업은 단 한군데도 공식 파산을 선언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말레이시아는 정부가 나서서 오히려 보호막 역할을 하면서 기업들의 구조조정계획이 지연되고 있다. 대량 실업사태로 인한 사회적 파장을 우려한 정부가 기업을 감싸안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신문은 한국에서는 5대 그룹들이 개혁에 특히 소극적이라고 꼬집으면서 지난해 이들 그룹의 부채가 전년보다 1백7억달러 오히려 늘어난 1천8백10억 달러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또 아시아기업들의 부채상환노력도 시간이 흐를수록 지지부진하다고분석했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3개국의 외채상환액이 98년 2.4분기 20억달러에서 3.4분기에는 8억9천1백만달러로 절반이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부실기업 매각도 말만 무성할뿐 실제로 이뤄지는 것이 거의 없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아시아지역의 기업인수합병(M&A)규모는 7백50억달러에 머물러 97년보다도 감소했다. 더욱이 인수기업들도 주로 아시아 기업이었으며 대부분 건당 1억달러를 밑도는 소규모 M&A여서 매각효과가 거의 없었다는 설명이다. 대부분 전문가들은 아시아기업들이 최근 주가상승과 경기회복에 편승해 개혁작업을 게을리한다면 위기는 언제든지 닥쳐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실물경제가 뒷받침되지않은 상황에서 버블요소가 많은 주식시장이 주저앉을 경우 그 파장은 엄청날 것이라며 근본적인 구조개혁을 통한 체질개선만이 살 길이라고 강조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2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