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21세기 승자의 조건 .. 유한수 <전경련 전무>

일본의 가장 권위있는 신문 가운데 하나인 니혼게이자이신문(일본경제신문)은 올 1월부터 3월까지 "21세기 승자의 조건"이라는 특집기사를 연재했다. 이 기사에서 이 신문은 21세기에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이런 기사를 보면서 느끼는 것은 우리가 너무 과거청산에 몰두하고 있다는점이다. 일본이 미래를 보고 있다면 우리는 과거에 매달려 있는 셈이다. 그런데도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일본이 하지 못한 금융개혁 등을 우리는 해냈다는 식으로 자부심을 느끼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시간적으로 빨리 했다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21세기에 살아남자면 무엇보다 20세기식 상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얼마전에 만난 외국계 컴퓨터회사의 사장은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 이제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시대에 컴퓨터를 배운 젊은이들은 새로운 기술이나 지식을 금방 받아들이는데 PC세대인 자신은 그 한계를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국가정책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21세기를 코앞에 두고 과거의 정책 패러다임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 궁금할때가 많다. 예컨대 기업관련 정책을 보자. 모두가 대기업의 구조조정이 미흡하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무엇을 하란 말이냐고 반문하면 과거의 경영행태가 잘못되었으니 그것을 뜯어고치라는 이야기를 한다. 문어발식 경영은 안되고 족벌체제도 없어져야 하며 부채비율도 줄여야 한다고 말한다. 옳은 말이다. 그러면 어떻게 고치라는 말인가. 이런 질문에 대해 아주 상식적인 20세기적 대답들이 준비되어 있다. 주주를 중시하고 전문경영체제를 갖추어야 하며 업종을 전문화하라는 것이다. 이런 것이 전형적인 과거방식이다. 도대체 미래의 경영환경에 대해 무슨 자신이 있길래 이런 교과서적 모범답안을 강요하는지 의아스럽다. 모범답안에 충실한 일부 전문가들은 주주를 중시하는 경영을 글로벌 스탠더드인양 말한다. 그러나 21세기 승자의 조건에서는 주주에게 무조건 굽신거리기보다 원하는주주를 선택할 수 있어야 승자가 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주주관계(Investors Relation)를 중시하는 것은 미국계 기업의 오랜 전통이다. 하지만 이제 IR의 방법도 크게 변하고 있다. 단기수익을 올려 주가가 오르면 주주가 좋아할 것이고 경영권이 안정된다는것은 소극적인 방식이라는 것이다. 오히려 안정주주를 찾아 경영권을 안정시키는 것이 더욱 좋은 방법이다. 단기차익을 노리지 않고 회사의 경영전략에 공감하는 주주들이 많아야 기업이 장기전략을 세울 수 있다. 이것이 기업 주주 국가 모두를 위해 좋은 일이다. 이와 같이 기업의 장기적 발전을 고려한다면 기업의 부채비율도 관점을 달리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정책당국은 대기업들이 부채비율감축에 소극적이라고 보고 알짜배기 계열사를 헐값에 팔아서라도 현금을 마련해서 은행빚을 줄이라고 다그친다. 그러나 이것은 시장경제원리에도 어긋나고 장사하는 사람이라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다. 기업하는 입장에서는 빚이라고 해서 다 같은 빚이 아니다. 1년안에 갚아야 할 빚도 있고 10년후에 갚아도 되는 빚이 있다. 10년짜리 빚은 장부상 빚이기는 해도 기업의 경영위험과는 큰 상관이 없는빚이다. 오히려 장기부채가 있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해당기업의 신용이 좋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러므로 부채비율이 높아 국제신인도가 떨어진다는 말은 맞지 않는 말이다. 단기부채의 비중이 높고 현금흐름이 좋지 않다면 문제다. 그러나 장기부채가 많고 현재 현금흐름이 좋다면 문제는 달라진다. 그래서 부채도 만기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해서 계산하는 것이 옳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이다. 또 빚중에는 운영자금으로 써버린 빚도 있고 설비에 투자해서 조만간 이익을 낼 수 있는 빚도 있다. 따라서 용도에 따른 차이도 감안해야 한다. 그저 획일적으로 빚이 많으니 갚으라고 다그치는 것은 21세기형 사고방식이아니다. 실제로 기업의 자산재평가가 이뤄지면 부채비율이 1백%포인트 정도 낮아질것으로 분석된다. 한국 기업의 현재 부채비율은 꽤 부풀려져 있는 셈이다. 자산재평가를 허용하지 않고 부채비율을 낮추라고 다그치는 것은 현실과 동떨어진 무리한 요구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의 승자가 되기 위해서는 인재도 싯가로 평가해야 한다는게 니혼게이자이의 주장이다. 과거 장관을 지냈다든지 하는 등 장부가격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우리와는 많은 차이가 난다. 이런 점에서 국가적 차원의 자산재평가를 해보아야 할 시점이라고 본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5월 1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