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금리 인상압력 완화] 인플레둔화로 본 세가지 시나리오

미국의 인플레압력이 크게 낮아졌지만 금리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살아 있다. 물론 인상폭과 시기 횟수에서는 변화가 있을수 있다. 그러나 금리인상을 기정사실로 보고 있는 월가의 시각은 그대로다. 문제는 FRB가 언제 얼만큼 몇번이나 올릴 것이냐다. 이에대한 전문가들의 견해는 여러갈래로 나뉘어져 있다. 당초 예상대로 이달말의 FOMC 회의에서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인 가운데 다음번 회의인 오는 8월에 인상될 것이라는 관측도 만만찮다. 아니면 오는 11월이나 12월로 시기가 대폭 늦춰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인상폭은 0.25%포인트에서 0.75%포인트로 다양하다. 인상 횟수 역시 한번에서 세번까지로 전망이 엇갈린다. 모두 나름대로 근거를 갖고 있는 시나리오들이다. 제1 시나리오(이달말 0.25%포인트 인상후 하반기에 한번 더 인상한다)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가장 높다. 16일 5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제로에 그쳤다는 발표가 나온 직후 미국 경제뉴스전문의 블룸버그통신은 월가 19개 금융기관들의 이코노미스트 23명을 대상으로 금리인상에 대한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결과 이중 20명이 FRB의 이달말 인상을 점쳤다. 인상 예상폭은 0.25%가 압도적이었다. 프루덴셜증권의 수석이코노미스트인 크레이그 커티스는 "5월 물가가 안정됐다고 해서 FRB의 금리인상 의지가 식지는 않을 것"이라며 오는 29-30일의 FOMC 회의에서 금리인상조치가 단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모건스탠리 덴위터증권의 수석이코노미트인 리차드 버너도 "FRB가 당초 계획대로 밀고 나갈 것이 확실시된다"며 이달말 금리인상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장담했다. 대다수 전문가들이 이렇게 보는 것은 물가상승세가 지난 5월에 스톱됐지만미국경제의 과열신호는 꺼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소비자물가와 함께 발표된 5월 산업생산은 0.2% 증가, 4개월 연속 늘어났다. 이 기간중 단독주택 신규 착공건수는 6.3%나 증가했다. 특히 단독주택 착공건수 급증은 향후 미국경제가 활황세를 이어갈 것임을 보여주는 예고하는 지표다. 신규주택이 늘어나면 여기에 들어가는 가전제품 등 각종 내구재들에 대한 소비붐이 지속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가가 잠시 안정됐다고 해서 인상시기를 늦출 만한 상황은 아니라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FRB는 인플레 예방차원에서 이달말에 금리를 인상할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얘기다. 그렇지만 인플레압력이 한결 약해진 것은 분명한 사실이기에 인상폭은 0.25%로 소폭에 그칠 전망이다. 이후 FRB는 하반기에 다시 한번 더 올릴 가능성이 있다. 제2 시나리오(오는 8월과 연말에 한번씩, 모두 0.5%포인트 인상한다) =첫번째 시나리오보다는 덜하나 이역시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이 주장을 펴는 전문가들은 물가오름세가 꺾인데다 5월중 신규취업자수가 전달의 34만3천명과는 비교도 안되는 1만1천명에 그쳤다는 점을 꼽고 있다. 월가 경제연구소인 하이프리퀀시이코노믹스의 이안 셰퍼드슨 연구원은 "FRB가 상황을 좀더 지켜본후 금리를 올릴 공산이 크다"며 "8월 인상"이 유력하다고 내다봤다. 그의 견해는 과거 FRB의 금리인상 상황을 살펴보면 상당한 설득력을 갖고 있다. FRB가 지난 94-95년에 금리를 수차례 올렸을때 연간 물가상승률은 2.8%에 달했다. 또 지난 97년 3월에 마지막으로 금리를 인상했을 때도 물가상승률이 2.7%를기록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올들어 5월말까지 물가상승률이 2.1%에 그치고 있다. 때문에 지금 당장 금리를 올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진단이 가능해진다. 이에따라 8월에 0.25%포인트를 올린후 상황을 지켜 보다가 연말에 한번 더그만큼 올릴 것이라는 관측에는 충분히 근거가 있다. 제3 시나리오(하반기에 한번만 올린다) =비교적 가능성이 낮지만 완전히배제할수 없는 전망이다. 무역적자가 급증하고 최근 3개월중 내구재주문이 2개월동안 감소하는 등 경기둔화를 알리는 경기지표들도 나오고 있는 까닭이다. 따라서 FRB는 금리인상을 자제, 시기를 최대한 늦추면서 인상폭도 0.25%포인트로 한정할 수 있다. 5월 소비자물가의 제자리걸음을 이유로 금리가 전혀 인상되지 않을수 있다는 지적도 있긴 하다. 하지만 이는 극히 소수 의견이다. 대세는 금리인상쪽에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6월 1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