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9.8% 성장] 국민 실질 총소득은 GDP 만큼 왜 안느나

실질 GDP가 9.8% 증가했으면 실질소득도 과연 그만큼 늘었을까.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답은 노(no)다. 생산한 만큼 소득이 늘지 않았을 뿐더러 소득불균형이 확대됐을 것이란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GDP에서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실액과임금 이자등 국외순쉬취 요소소득을 빼면 나온다. 그러나 교역조건이 2.4분기중 크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나 실질 GNI도 크게줄어들 전망이다. 한은에 따르면 수출 1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수입량을 의미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96.8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 2.4분기(101)보다 4.2% 나빠진 수준이다. 한은 관계자는 "교역조건 악화에 따른 무역손실이 1.4분기중 6조5천억원이었지만 2.4분기엔 규모가 확대됐을 것"으로 분석했다. 다시말해 생산은 크게 늘었지만 그에 못지 않게 해외로 유출된 국부도 적지않았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소득불균형 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도시노동자 가구중 하위 10% 소득계층의 평균소득에 대한 상위 10% 소득계층의 평균소득 배율은 80년을 전후해 8배 수준을 유지했다. 이것이 98년에는 97년의 7배에서 9.4배로 높아졌다. 작년중 상위계층의 소득은 0.3% 감소해 평균소득감소폭(-6.7%)에 못미쳤는데반해 하위계층의 소득은 10%이상 감소했기 때문이다. 소득배율은 99년 1.4분기중 10.2배로 오른데 이어 2.4분기중 더 높아졌을 것으로 한은은 보고 있다. 그만큼 중산층이 엷어졌다는 얘기다. 이같은 소득불균형은 내수확대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경기분석 보고서를 통해 "현재 GDP대비 총소비비율(55%추정)은 과거 평균수준에 도달했다"며 "더 이상의 소비증가를 기대하기 힘든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소비증가율은 1.4분기중 5%를 기록, GDP 증가율보다 높았지만 2.4분기(9%)엔 GDP 증가율 9.8%에 미치지 못했다. 연구소 관계자들은 "소득계층 격차확대와 같은 구조적 불균형 문제는 안정적 회복구도를 해치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며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8월 2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