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부실기업 예측모형" 개발
입력
수정
금융감독원은 금융기관과 거래하는 기업이 부실기업인지 아닌지를 가려낼수 있는 "부실기업 예측모형"을 개발했다. 이 모형은 최근 2~3년치 재무제표를 넣으면 부실여부를 자동적으로 가려내며 변별력이 80%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됐다. 금감원은 26일 미국 등 선진국 모형의 장점을 모은 부실기업 예측모형을 개발해 이르면 오는 11월부터 금융기관의 건전성 검사.감독에 활용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이 모형을 60개 기업(부실기업 30개,정상기업 30개)에 적용해본 결과,부실징후기업에 대한 변별력이 80%를 웃돌았다고 밝혔다. 나중에 부실로 판명된 기업도 부실화 이전 2~3년간의 제무제표를 이 모형에 대입해보니 부실화할 수밖에 없는 요인들이 도출됐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계량화된 수치로 나타나는 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등 재무제표를 이 모형에 넣고 기업의 특수성,해당업종이 처한 환경 등 비계량적인 요소들을 감안하면 부실기업을 가려내는 작업이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동안 금감원 검사요원들은 금융기관을 검사할 때 대출기업의 부실여부를 판별할 객관적인 기준이 없어 애를 먹었다. 관계자는 "선진국에선 보편화된 부실기업 예측모형이 국내에선 거의 활용되지 못했다"면서 "변별이 어려운 나머지 20%는 비계량 요인들을 전문가적인 식견으로 가려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올 연말부터 미래상환능력을 감안한 새로운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이 시행됨에 따라 금융기관들이 거래기업 신용등급 분류내역을 점검할 때 이 모형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재무제표가 분식 됐으면 이 모형도 효과가 없는 만큼 기업의 회계처리가 법규에 따라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지도록 철저히 감시하기로 했다. 오형규 기자 ohk@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9월 2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