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과학자, T세포 자살프로그램 규명

T세포의 자살프로그램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이 한국인 과학자에 의해 세계처음으로 발견됐다. 이에따라 류머티즘 등 T세포의 문제로 일어나는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할수있는 길이 열렸다. 미국 메사추세츠(MIT)공대 암연구센터 연구원인 윤홍덕(35)박사는 인체내T세포의 자살을 조절하는 단백질과 작동 메커니즘을 밝혀낸 연구결과를 22일미국 과학잡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T세포는 바이러스 등 외부에서 침입한 단백질을 제거함으로써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부 T세포는 인체의 정상 세포까지 무차별적으로 공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때 인체는 문제의 T세포에 신호를 보내 내장된 자살프로그램을 가동시킨다. 만약 T세포가 이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고 계속 정상세포를 공격할 경우류머티즘 등 자가면역질환에 걸리게 된다. 윤 박사가 발견한 "캐빈1"이라는 단백질은 T세포의 자살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 지난 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세포내 자살프로그램은 암 치매 에이즈 등과 관련있다는 것이 입증되면서 생물학에서는 가장 중요한분야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윤 박사는 캐빈1 단백질을 모방해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할수 있는 의약품을개발할 예정이다. 윤 박사는 서울대 미생물학과에서 석 박사 과정을 마친후 지난 96년부터 미국 MIT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고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2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