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역사인물 평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제대로 역사적 평가를 받은 것은 사후 2백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뒤였다. 1795년 정조는 이순신의 문집인 "이충무공전서"를 발간했다. 정조는 이때 충무공에게 영의정을 추증하면서 비문까지 지어주었다. 정조이후 충무공은 사람들의 관심밖으로 밀려나 다시 까맣게 잊혀졌다. 그러다가 일제때인 1931년에 와서야 전국민들에게 알려져 빛을 보게 된다. 민족사학자들이 의연금을 거둬 현충사를 다시 짓고 이광수가 동아일보에 소설 "이순신"을 연재한 것도 이때였다. 결국 이무렵에 와서야 충무공이 전국민에게 제대로 알려졌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 후 다시 잊혀졌던 충무공은 70년대 유신체제하의 군사정권때 "성웅"으로 화려하게 되살아난다.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는 이처럼 시대마다 그 지배적인 시류에 따라,선택의 새로운 기준에 따라 재평가되기도 하고 폄하되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처럼 역사적 인물 평가가 들쭉날쭉인 나라도 다시 없을 것이다. 사회가 안정됐던때가 적었기 때문일까. 박정희 전대통령 서거 20주기를 맞아 사진전, 연극 "인간 박정희" 공연,어록집출판기념회등 각종 추모행사가 줄을 잇고 추도식도 예년과는 달리 전직대통령 정치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열릴 모양이다. 김대중 대통령이 화해의 메시지를 보내고 박정희기념관건립 국고지원을 약속한 뒤에 열리는 첫 추도회라서 더 관심거리다. 박정희 전대통령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평가는 지금도 "근대화의 선구자"와 "독재자"라는 상반된 견해가 팽팽하게 맞서있다. 그는 아직 역사적 평가를 받는 과정에 있다고나 할까. 요즘의 "박정희 붐"이 과거의 향수에 젖은 추종자들에게 그르 왜곡 과장미화하는 기회가 되거나 정객들의 ''영남껴안기'' 작전으로 오용된다면 박정희 재평가는 볼테르의 말마따나 ''사자에 대한 속임수''일뿐 한국 역사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역사적 인물의 평가는 아무리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역사가들의 몫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