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면톱] 제조업 부채 247% .. 한은, 상반기 분석

국내 제조업의 부채비율이 31년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주식시장 활황으로 유상증자가 크게 늘어난데다 자산재평가 등으로 자기자본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 제조업체들은 지난 상반기중 금리하락과 환율하락에 힘입어 1천원어치를 팔아 42원의 이익을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은 10일 발표한 "99년 상반기 기업경영분석"을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지난 6월말 현재 제조업의 부채비율은 2백47.2%로 작년말(3백3.0%)보다 55.8%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 68년(2백7.5%)이후 최저 수준이다. 정정호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제조업의 부채비율이 떨어진 것은 부채가줄어들었다기 보다 자기자본이 늘어한데 따른 것"이라며 "부채감축분 55.8%포인트 가운데 36.6%포인트는 유상증자 몫"이라고 설명했다. 제조업 차입금은 6월말 2백60조4천억원으로 작년말(2백63조5천억원)보다 3조1천7백억원 줄어드는데 그쳤다. 자기자본은 1백28조원에서 1백58조원으로 증가했다. 또 영업이익에서 금융비용 등을 뺀 경상이익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인 매출액 경상이익률은 4.2%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95년 상반기(4.2%) 이후 최고 수준이며 3저 호황기인 88년의 4.1%보다 높은 것이다. 작년 상반기에는 매출액 경상이익률이 마이너스 0.4%를 나타냈었다. 한은은 환율하락으로 영업이익이 줄어들었지만 금융비용감소와 외환부문에서 순이익이 발생해 경상이익률이 크게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상반기중 제조업체들은 저금리로 인해 작년 상반기에 비해 4조5천억원규모의 금융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작년 상반기 8.8%에서 7.8%로 떨어졌다. 영업이 호전됐다기 보다는 금리 환율 등 영업외적인 요인의 호전이 경상이익 증가에 큰 역할을 했던 셈이다. 한편 제조업 매출액은 작년 상반기보다 3.4% 감소,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지난 7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를 기록했다. 이는 내수가 작년 상반기 보다 9.4% 늘었으나 수출이 환율 및 수출가격 하락으로 작년 상반기보다 18.7% 줄어든데 따른 것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1월 1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