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I면톱] 대우 해외사업장 '퇴출' 압박

대우 사태로 해외 사업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틈을 타 대우 사업장을 무력화시키려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5백여개의 대우 해외 사업장의 자산가치가 폭락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19일 대우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동구권 및 러시아에서 대우 현지 법인이 조만간 철수할 것이란 소문이 확산되면서 회사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루마니아에서는 미국의 GM이 대우 루마니아 자동차 공장을 인수하고 일본 기업이 대우 망갈리아 조선을 인수할 것이란 루머가 돌고 있다. 또 루마니아 정부가 지난 7월 국영 다치아자동차를 각종 특혜를 제공하면서 프랑스 르노사에 헐값에 매각한 것도 대우자동차를 루마니아 시장에서 내쫓기위한 조치로 받아들여지기고 있다. 대우그룹은 루마니아 로대 자동차 공장에 총 8억달러, 망갈리아 조선소에 5천3백만달러를 투자했다.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폴란드 파키스탄 인도 수단 등지에 세운 이동통신 현지법인들도 자금난으로 기본설비망 확충에 차질을 빚을 경우 사업권을 빼앗길 가능성도 있다. 러시아 및 동유럽 등 일부 지역에서는 대우의 영향력이 약화되자 예고없이 현지 세무당국이 대우 사무실에 들이닥쳐 회계자료를 요구하는 등 압력을 가하고 있다. 지난달 러시아 세무경찰이 모스크바의 대우자동차 협지법인 사무실에서 미국달러와 루블 등 20만달러상당의 현금과 회계서류를 압수했다. (주)대우의 한 관계자는 "대우사태가 발생하기 전에는 이런 일을 꿈도 꿀 수없었다"고 말했다. 영국 런던의 경우 (주)대우가 지주회사로 되어있는 현지법인들이 상호지급보증 및 은행부채 상환문제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대우 이미지가 추락해 대우가 생산하는 제품판매가 급감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우에 대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 서둘러 진행된 후 해외 지주회사에 대한 정리도 이뤄져야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같은 대우 해외사업장 붕괴는 시간이 흐를수록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대우문제가 장기화되면서 가장 심각한 타격을 받는게 (주)대우의 무역법인들이다. (주)대우 관계자는 "10여개의 무역법인이 현지 금융기관이 자금대여를 기피해 사실상 영업을 중단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특히 (주)대우의 현지 무역법인은 연말까지 수출보험공사의 보증을 통해이뤄졌던 외상수출대금을 모두 갚아야 하기 때문에 자금사정이 갈수록 악화될것으로 보인다. 투자 초기단계의 생산법인들도 운전자금을 확보하지 못해 정상적인 조업이 힘든 것으로 조사됐다. (주)대우 대우자동차 등 대우 주력사들의 경우 지난 7월 채권단으로부터 협조융자지원을 받은 이후 해외 사업장에 대한 송금이 사실상 중단됐다. 따라서 자생력이 없는 해외 법인은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라고 대우측은 전했다. 투자 대상국 정부와 맺은 계약을 이행못하는 현상도 빚어지고 있다. 대우자동차는 인도와 우크라이나 등 투자국 정부와 맺은 계약을 어떻게 이행될 지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특히 우크라이나의 경우 직접투자를 통한 현지생산과 기술이전을 대가로 독점사업권을 따낸 사업성 높은 프로젝트여서 이행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우는 지난 95년 9월 자동차 생산설비 현대화와 생산량 증대를 위해 6년간 13억달러를 투자키로 우크라이나 정부와 계약을 맺었으나 4년만에 투자가 중단될 위기에 몰렸다. 대우그룹 법무실 관계자는 "계약서상 계약불이행시 계약취소나 무관세 특혜에 따른 고액의 벌과금 부과조항이 포함돼 있다"며 "아직까지 이를 강행하겠다는 통보는 없지만 앞으로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장담할 수 없다"고설명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대우 주력사 해외 사업장에 대한 옥석을 가리는 작업을신속하게 벌여 대우 해외 자산 가치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1월 2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