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다임 2000] 시민의 힘 'NGO' : 국내..'앞서가는 인물'
입력
수정
1903년 서울 YMCA의 탄생 이래 한국의 NGO를 이끌어 온 활동가들은 시대별로
독특한 컬러를 지니고 있었다.
조국이 암울했던 시기에 활동한 NGO 지도자들은 시민운동가라기 보다는
애국지사에 가까웠다. 1913년 흥사단을 설립한 도산 안창호 선생과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어 해방후 이승만 정권, 박정희 군사정권을 거치는 동안에는 새마을운동중
앙협의회 등 친정부성향을 가진 인사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비판적인 시민단체는 종교단체나 농민, 노동자단체 등 손으로 꼽을
정도였다. 엄격한 의미에서의 NGO 시대는 경실련이 발족한 89년 이후부터라고 봐야
한다.
NGO 1세대로는 경실련 초대사무총장이었던 서경석 목사(현 우리민족서로돕기
운동본부 집행위원장), 유재현 세민재단 이사장, 최열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박원순 참여연대 사무처장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서 목사는 74년 민청학련사건,79년 YH사건으로 옥고를 치렀고 기독교사회문
제연구원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최열 총장 역시 긴급조치시대의 운동권 인사로서 이 시기의 활동가들은
대부분 재야에 몸담고 있다가 시민 운동에 뛰어들었다.
이밖에 시민단체에 상근자로 활동하지는 않지만 정책자문단 등으로
정책입안과정에 깊숙이 참여하는 진보적인 교수들도 1세대들과 연배가
비슷하다.
서울시립대학의 강철규교수, 고려대의 이필상교수(현 함께하는 시민행동
운영위원장),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으로 입각했던 김태동 교수 등이 자문교수
그룹에 속한다. 2세대는 이른바 386세대들로 80년대 학생 운동가들이 시민운동가로 변신한
케이스.
김기식 참여연대 정책실장은 88년 대학 제적 뒤 인천지역 노동현장에서
활동하다 94년 참여연대 출범과 함께 시민운동에 참여했다.
하승창 "함께하는 시민행동" 사무처장, 서왕진 환경정의시민연대 사무국장,
이광렬 경실련 부정부패추방운동본부 사무국장, 김승보 경실련 정책실장,
신종원 YMCA 시민사회개발부장 등이 80년대 초반 학번들로 대학시절 반독재를
외치다 시민운동가로 변신한 2세대 대표주자들이다.
이들은 직위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소속단체의 실무책임자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시민운동의 손발이 되고 있는 층은 90년대 학번의 젊은 실무자들.
80년대 학번의 활동가들이 학생운동이라는 치열한 투쟁과정에서 자기검증을
거친 세대라면 이들은 비교적 자기실현욕구가 강한 개성세대들이다.
이들 2세대들은 최저생계비 수준인 50만~60만원대의 봉급을 받으면서도
시민운동의 주역이라는 사명감 아래 온갖 궂은 일들을 도맡아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의 위상이 높아진 요즘 일부 시민단체 공채과정에서는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참여연대는 지난해 1월과 4월 두차례 공채를 통해 간사를 뽑았다.
이 때 경쟁률이 각각 5대 1,10대 1에 달해 관계자를 깜짝 놀라게했다.
경실련 역시 지난해 4월 정책실 간사 3명을 뽑는데 79명의 지원자가 몰렸다.
지원자들 가운데에는 서울대 대학원,모스크바대학 박사 등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들도 적지 않았다.
이들은 서류, 시험, 면접 등의 까다로운 절차를 통해 채용됐다. 이광렬 부패추방운동본부 사무국장은 "외국에서는 박사급 이상 전문가들이
상당수 상근자로 일하고 있다"며 "국내의 경우 지금은 변호사 의사 회계사
등이 정책입안 등 자문단으로 있지만 앞으로는 직접 상근자로 나서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벌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3일자 ).
독특한 컬러를 지니고 있었다.
조국이 암울했던 시기에 활동한 NGO 지도자들은 시민운동가라기 보다는
애국지사에 가까웠다. 1913년 흥사단을 설립한 도산 안창호 선생과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어 해방후 이승만 정권, 박정희 군사정권을 거치는 동안에는 새마을운동중
앙협의회 등 친정부성향을 가진 인사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비판적인 시민단체는 종교단체나 농민, 노동자단체 등 손으로 꼽을
정도였다. 엄격한 의미에서의 NGO 시대는 경실련이 발족한 89년 이후부터라고 봐야
한다.
NGO 1세대로는 경실련 초대사무총장이었던 서경석 목사(현 우리민족서로돕기
운동본부 집행위원장), 유재현 세민재단 이사장, 최열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박원순 참여연대 사무처장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서 목사는 74년 민청학련사건,79년 YH사건으로 옥고를 치렀고 기독교사회문
제연구원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최열 총장 역시 긴급조치시대의 운동권 인사로서 이 시기의 활동가들은
대부분 재야에 몸담고 있다가 시민 운동에 뛰어들었다.
이밖에 시민단체에 상근자로 활동하지는 않지만 정책자문단 등으로
정책입안과정에 깊숙이 참여하는 진보적인 교수들도 1세대들과 연배가
비슷하다.
서울시립대학의 강철규교수, 고려대의 이필상교수(현 함께하는 시민행동
운영위원장),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으로 입각했던 김태동 교수 등이 자문교수
그룹에 속한다. 2세대는 이른바 386세대들로 80년대 학생 운동가들이 시민운동가로 변신한
케이스.
김기식 참여연대 정책실장은 88년 대학 제적 뒤 인천지역 노동현장에서
활동하다 94년 참여연대 출범과 함께 시민운동에 참여했다.
하승창 "함께하는 시민행동" 사무처장, 서왕진 환경정의시민연대 사무국장,
이광렬 경실련 부정부패추방운동본부 사무국장, 김승보 경실련 정책실장,
신종원 YMCA 시민사회개발부장 등이 80년대 초반 학번들로 대학시절 반독재를
외치다 시민운동가로 변신한 2세대 대표주자들이다.
이들은 직위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소속단체의 실무책임자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시민운동의 손발이 되고 있는 층은 90년대 학번의 젊은 실무자들.
80년대 학번의 활동가들이 학생운동이라는 치열한 투쟁과정에서 자기검증을
거친 세대라면 이들은 비교적 자기실현욕구가 강한 개성세대들이다.
이들 2세대들은 최저생계비 수준인 50만~60만원대의 봉급을 받으면서도
시민운동의 주역이라는 사명감 아래 온갖 궂은 일들을 도맡아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의 위상이 높아진 요즘 일부 시민단체 공채과정에서는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참여연대는 지난해 1월과 4월 두차례 공채를 통해 간사를 뽑았다.
이 때 경쟁률이 각각 5대 1,10대 1에 달해 관계자를 깜짝 놀라게했다.
경실련 역시 지난해 4월 정책실 간사 3명을 뽑는데 79명의 지원자가 몰렸다.
지원자들 가운데에는 서울대 대학원,모스크바대학 박사 등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들도 적지 않았다.
이들은 서류, 시험, 면접 등의 까다로운 절차를 통해 채용됐다. 이광렬 부패추방운동본부 사무국장은 "외국에서는 박사급 이상 전문가들이
상당수 상근자로 일하고 있다"며 "국내의 경우 지금은 변호사 의사 회계사
등이 정책입안 등 자문단으로 있지만 앞으로는 직접 상근자로 나서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벌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