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회복 '외화내빈' .. 미국 비즈니스위크지 지적
입력
수정
한국경제가 완전히 회복됐다고 보는 것은 착각이라고 미국의 경제전문
주간지 비즈니스위크가 최신호(17일자)에서 주장했다.
비즈니스위크는 "한국경제가 겉보기에는 회복된 것처럼 보이나 실상은
외환위기 이전과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 근거로 기업들이 여전히 빚에 허덕이고 있으며 금융기관들도 부실여신에
시달리고 있는 점을 들었다.
잡지는 특히 2백30억달러(26조원)에 달하는 대우그룹 채권이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릴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외환위기 전과 마찬가지로 기업들에 대한 신용평가가 투명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그 대표적인 예로 5년연속 적자를 낸 쌍용자동차에 대해 채권단
이 "일시적인 유동성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이라고 진단한 것을
꼽았다. 비즈니스위크는 이와함께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연 10%
안팎에 묶어 놓고 있어 경기과열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한국정부가 오는 4월 총선을 앞두고 투자신탁회사 정리와 같은 경제개혁을
늦추고 있는 것도 한국경제의 위험요소라고 덧붙였다.
이 잡지는 서울대 정운찬 교수의 말을 빌려 "경제성장률과 실업률 등 각종
거시경제지표가 눈에 띄게 좋아진 것은 경제개혁의 성과가 아니라 오히려
개혁을 늦춘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경제가 회복된 것처럼 보이는 것은 엔고와 반도체경기 회복이
겹쳐 수출이 늘어난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평가절하했다.
비즈니스위크는 무엇보다 심각한 문제는 한국인들이 이같은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11일자 ).
주간지 비즈니스위크가 최신호(17일자)에서 주장했다.
비즈니스위크는 "한국경제가 겉보기에는 회복된 것처럼 보이나 실상은
외환위기 이전과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 근거로 기업들이 여전히 빚에 허덕이고 있으며 금융기관들도 부실여신에
시달리고 있는 점을 들었다.
잡지는 특히 2백30억달러(26조원)에 달하는 대우그룹 채권이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릴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외환위기 전과 마찬가지로 기업들에 대한 신용평가가 투명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그 대표적인 예로 5년연속 적자를 낸 쌍용자동차에 대해 채권단
이 "일시적인 유동성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이라고 진단한 것을
꼽았다. 비즈니스위크는 이와함께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연 10%
안팎에 묶어 놓고 있어 경기과열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한국정부가 오는 4월 총선을 앞두고 투자신탁회사 정리와 같은 경제개혁을
늦추고 있는 것도 한국경제의 위험요소라고 덧붙였다.
이 잡지는 서울대 정운찬 교수의 말을 빌려 "경제성장률과 실업률 등 각종
거시경제지표가 눈에 띄게 좋아진 것은 경제개혁의 성과가 아니라 오히려
개혁을 늦춘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경제가 회복된 것처럼 보이는 것은 엔고와 반도체경기 회복이
겹쳐 수출이 늘어난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평가절하했다.
비즈니스위크는 무엇보다 심각한 문제는 한국인들이 이같은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1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