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투데이] 미국 노동시장 팽창의 함수

[ The Economist 본사 독점전재 ]

1990년대 미국경제의 가장 획기적인 변화는 노동시장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기간동안 일자리가 무려 2천2백만개나 창출됐다.

노동인구 6명당 한 명 꼴로 일자리가 늘어난 셈이다.

결과적으로 실업률은 30년만의 최저치인 4.1%까지 떨어졌다. 사실 실업률은 지난 97년 중반이후 줄곧 5%이하를 유지했다.

하지만 심각한 임금상승이나 인플레 압력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오히려 99년 평균 임금상승률은 3.6%로 98년 4.2%보다 낮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는 아직 명백하지 않다.

최근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이같은 노동시장의 변화도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고백이다.

하지만 몇 가지 분명한 추세는 있다. 먼저 노동력 공급이 예상보다 많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일자리가 많아지면서 더 많은 노동인구가 생겨났다.

장기적으로 볼 때 조기퇴직 추세도 멈춰선 상태다.

노동인구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늘어났다.

정확히 집계하기는 어렵지만 불법 이민의 증가도 노동력 증가의 원인이었다.

인구조사청의 공식집계에 따르면 현재 미국의 불법 이민자는 약 5백만명
정도이지만 전문가들은 실제 규모는 이보다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노동력 증가로 일자리 창출붐은 지속될 수 있었다.

둘째 실업률과 인플레 사이의 관계가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동안 실업률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인플레 압력이 높아지는 게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즉 인플레를 유발하지 않는 수준의 실업률인 자연실업률(미국의 경우
5.5~6%)보다 실업률이 낮아지면 인플레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같은 논리가 먹혀들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 자연실업률 및 인플레-실업률간 관계를 폐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정도다.

하지만 인플레와 실업률간 관계의 변화와 그 관계의 해체를 혼동하는 것은
잘못이다.

수요와 공급법칙이 무효화되지 않는 한 낮은 실업률이 임금상승 압력을
낳지 않는다는 주장은 말이 안된다.

이런 관계가 언제 혹은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에 분석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셋째 낮은 인플레율이다.

98년 중반까지는 저실업률로 인해 임금상승 압력이 나타났다.

그런데 그 이후부터 임금상승폭이 둔화되기 시작했다.

98년의 달러 강세와 낮은 원자재격이 그 원인이었다.

물가가 낮았기 때문에 노동자들은 낮은 임금상승률에 큰 불만이 없었다.

그러나 99년부터 인플레율이 다소 상승하고 있어 이런 추세가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넷째 전통적인 임금 통계자료가 현실을 잘 반영하지 못할수 있다는 점이다.

보너스나 스톡옵션 등의 수입은 정확히 측정하기가 힘들다.

이때문에 급여가 눈에 띄지 않게 오르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다섯째 자연실업률의 하락이다.

대부분의 이코노미스트들이 여기에 주목하고 있지만 아직 그 이유를
명쾌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97년 자연실업률 추정치가 연구결과에 따라 5.1~7.7%로 나타나
자연실업률이 언제부터 하락했는지도 알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인구통계로만 본다면 자연실업률이 어느 정도 하락한 것은 분명하다.

일반적으로 노령층은 젊은 층보다 실업률이 낮다.

지난 70년대 젊은 남녀 노동자들이 대거 노동력 시장에 참여하면서 자연
실업률은 상당히 높아졌는데 90년대 이들이 나이가 들면서 자연실업률이
다시 하락한 것이다.

노동시장의 효율성이 증대했다는 사실도 자연실업률의 하락 요인이다.

90년대는 임시고용직이 급증했다.

신규일자리의 10%가 임시직이다.

로렌스 카츠 하버드대 교수와 앨런 크뤼거 프린스턴대 교수는 일시적인
고용 증가로 인해 자연실업률이 0.4%포인트 정도 줄었다고 추정했다.

여섯째 노동불안도 실업률과 인플레간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요인이다.

기술이 급변할 때는 어떤 직업을 가진 노동자이건 일자리를 유지하는데 더
높은 프리미엄을 감수하게 된다.

실업률이 낮은데도 임금상승 압력은 높지 않은 것은 바로 이때문이다.

조사자료들에 따르면 사람들은 지난 89년보다 더 실업을 우려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도 확실치 않다.

다른 조사자료에서는 소비자 신뢰도가 높아졌고 사람들이 어느 때보다도
일자리를 구하기가 쉽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인이 무엇이든 미국 정부가 자연실업률 수준을 바꾸지 않는 것은 정책
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몇 년안에 90년대 자연실업률의 하락이 일시적인 인플레 압력 둔화에 의한
것인지, 구조적 변화에 따른 것이지 가려질 것이다.

물가가 상승하고 나면 실업률이 인플레를 야기할수 밖에 없을 정도로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는 사실도 분명해질 것이다.

미국 노동시장에도 한계가 있다.

미국의 정책당국자들은 이 한계가 언제 나타날 것인지 결정해야만 하는
어려운 임무에 직면해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19일자 ).